건소健少, 건소建紹, 건송가健訟家, 건수乾愁, 건수謇修, 건수蹇脩

❍ 건소[健少]  건장하고 젊은 사람을 가리킨다진림(陳琳)의 음마장성굴행(飮馬長城窟行) “장성은 끝도 없이 이어져 있고이어진 길이 자그마치 삼천리나 되는데성 주변엔 일하는 젊은이들이 많고고향 집에는 홀로 지내는 부인들이 많네.[長城何連連連連三千里邊城多健少內舍多寡婦.]”라고 하였다.

❍ 건소[建紹]  송 고종(宋高宗)의 연호인 건염(建炎)과 소흥(紹興)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건염은 1127~1130년까지이고소흥은 1131~1162년까지이다.

❍ 건송가[健訟家]  주역(周易송괘(訟卦단사(彖辭)에 위는 강하고 아래는 험하여 험하고 굳센 것이 송이다.[上剛下險 險而健 訟]”라고 한 데서 나온 말로성품이 험악하여 쟁송(爭訟)을 만드는 사람을 가리킨다.

❍ 건수[乾愁]  공연한 걱정소용없는 시름.

❍ 건수[謇修]  박건호수(博謇好修)의 줄임말로매우 충직하고 수양하기를 좋아한다는 뜻이다초사(楚辭이소경(離騷經)에 그대는 왜 옛날의 충직을 널리 알고 수양을 좋아하여 혼자만 아름다운 절개를 가지고 있단 말인가.[汝何博謇而好修兮紛獨有此姱節.]”라고 하였다.

❍ 건수[蹇脩]  중매인건수(蹇脩)는 중매쟁이를 뜻한다복희씨(伏犧氏)의 신하로 중매를 잘 했다고 한다굴원(屈原)의 초사(楚辭이소(離騷)에 패물의 띠를 풀어서 언약하고내 건수에게 중매를 부탁하네.[解佩纕以結言兮吾令蹇脩以爲理.]”라고 하였는데그 주()에 건수(蹇修)옛날에 중매쟁이이다.[蹇修古良媒.]”라고 하였고또 왕일(王逸)의 주()에 건수는 복희씨의 신하이다…… 내 이미 복비를 만났으니패물을 때를 풀어 언약하고옛 현인 건수를 시켜 중매로 삼겠다는 말이다.[蹇脩伏羲氏之臣也…… 言己既見宓妃則解我佩帶之玉以結言語使古賢蹇脩而爲媒理也.]”라고 하였다건수(蹇修).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