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도불식乾道不息, 건도성남乾道成男, 건두乾豆, 건둔蹇屯
❍ 건도불식[乾道不息] 하늘의 도는 한 번도 쉰 적이 없고, 곤괘(坤卦)는 모두 음효(陰爻)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건도(乾道)는 쉰 적이 없다’는 것은 주역(周易) 건괘(乾卦) 상전(象傳)에 “하늘의 운행이 굳세니, 군자가 이것을 보고서 스스로 강하게 하여 쉬지 않는다.[天行健, 君子以, 自強不息.]”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건도성남[乾道成男] 건(乾)은 천(天)으로서 양을 뜻하는 고로 남자를 이룬다는 말이다. 주역(周易) 계사전 상(繫辭傳上)에 1장에 “뇌정으로 고동(鼓動)하고, 풍우로 적셔 주고, 일월이 운행하고, 한서(寒暑)가 교차하는 과정에서, 건(乾)의 도(道)는 남성을 만들어 내고, 곤(坤)의 도는 여성을 만들어 낸다.[鼓之以雷霆 潤之以風雨 日月運行 一寒一暑 乾道成男 坤道成女]”라고 하였다.
❍ 건도성남[乾道成男] 주돈이(周敦頤)가 지은 태극도설(太極圖說)의 “무극의 진리와 이기오행(二氣五行)의 정기가 묘하게 합하고 엉겨서 건도는 남(男)을 이루고 곤도는 여(女)를 이루어 두 기운이 교감하여 만물을 화생하니, 만물이 낳고 낳아 변화가 무궁하게 된다.[無極之眞, 二五之精, 妙合而凝, 乾道成男, 坤道成女, 二氣交感, 化生萬物, 萬物生生而變化無窮焉.]”라는 구절에 대한 주희(朱熹)의 해설에 보이는데, 이르기를 “남녀의 입장에서 보면 남녀가 각각 그 성(性)을 하나씩 간직하여 남녀가 한 태극이 되고, 만물의 입장에서 보면 만물이 각각 그 성(性)을 하나씩 간직하여 만물이 한 태극이 된다. 합하여 말하면 만물이 한 태극을 통합하여 본체로 간직하였고, 나누어 말하면 한 물(物)이 각각 한 태극을 간직하고 있는 것이다.[自男女而觀之, 則男女各一其性, 而男女一太極也; 自萬物而觀之, 則萬物各一其性, 而萬物一太極也. 蓋合而言之, 萬物統體一太極也; 分而言之, 一物各具一太極也.]”라고 하였다. <近思錄集解 卷1 道體>
❍ 건두[乾豆] 제기(祭器)에 담아 제사에 쓰는 말린 고기이다. 건(乾)은 말린 고기이고, 두(豆)는 제기(祭器)이다. <禮記 王制>
❍ 건둔[蹇屯] 어려운 상황이라는 말이다. 주역(周易) 건괘(蹇卦) 단(彖)에 “건은 어려움이니 험함이 앞에 있다.[蹇難也 險在前也]”라고 하였고, 주역(周易) 둔괘(屯卦) 단(彖)에 “준은 강과 유가 처음 사귀어 어려움이 생겨났다.[屯 剛柔始交而難生]”라고 하였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