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건석척乾乾夕惕, 건건이운乾健而運, 건건지절蹇蹇之節, 건건척려乾乾惕厲, 건건척약乾乾惕若

건건사사[件件事事]  사사건건. 모든 일. 온갖 사건(事件). 일마다.

건건석척[乾乾夕惕]  주역(周易) 건괘(乾卦)구삼(九三)은 군자(君子)가 종일 게을리하지 않아 저녁이 되어서도 삼가고 두려워한다면 험난한 환경에 처했더라도 화를 면할 것이다.[九三 君子終日乾乾 夕惕若 厲無咎]”라고 한 데서 인용한 것이다.

건건이명지덕[乾健離明之德]  임금의 굳세고 밝은 덕을 이른다. 주역(周易) 대유괘(大有卦) 괘사(卦辭)의 주희(朱熹) 본의(本義)()은 굳세고 리()는 밝으며 존위(尊位)에 거하고 하늘에 응하니, 형통할 도가 있는 것이다. 점치는 자가 이러한 덕이 있으면 크게 선하여 형통할 것이다.[乾健離明 居尊應天 有亨之道 占者有其德 則大善而亨也]”라는 내용이 보인다.

건건이운 이려이행[乾健而運 離麗而行]  건괘(乾卦)의 기상처럼 씩씩하게 움직이고, 이괘(離卦)의 의미처럼 자연스럽게 어울려 나아감. 주역(周易) 건괘(乾卦)하늘의 운행이 씩씩하니, 군자가 그 뜻을 본받아 스스로 강하여 쉬지 않는다.[天行健, 君子以自彊不息.]”라고 하였고, 주역(周易) 이괘이괘(離卦) ()()는 달라붙음이라, 일월은 하늘에 달라붙고, 백곡과 초목은 흙에 달라붙나니, 거듭 밝음으로써 바름에 달라붙어 천하를 화성하나니라.[離麗也 日月麗乎天 百穀草木麗乎土 重明以麗乎正 乃化成天下]”라고 하였다.

건건지절[蹇蹇之節]  바른말하는 절개. 주역(周易) 건괘(蹇卦) 육이효사(六二爻辭)왕신(王臣)이 건건(蹇蹇)함이 자신의 연고가 아니다.[王臣蹇蹇 匪躬之故]”라고 하였는데, 이에 대한 정자(程子)의 역전(易傳)이는 중정(中正)한 사람이 중정(中正)한 군주에게 신임을 받는 것이다. …… 뜻이 군주를 건난(蹇難: 어려움)의 가운데에서 구제함이 있으니, 그 어려움에 어려운 것은 자신을 위한 연고가 아니다. 비록 그 어려움을 감당하지 못하더라도 뜻과 의()가 가상히 여길 만하다.[是中正之人 爲中正之君所信任……志在濟君於蹇難之中 其蹇蹇者 非爲身之故也 雖使不勝 志義可嘉]”라고 하였다.

건건척려[乾乾惕厲]  건건(乾乾)은 자강불식(自强不息)하는 모습이고, 척려(惕厲)는 조심조심하는 모습이다. 주역(周易) 건괘(乾卦)의 구삼(九三)군자가 종일토록 굳세고 굳세어서 저녁까지도 두려운 듯이 행동하면 비록 위태로우나 허물은 없을 것이다.[君子終日乾乾, 夕惕若, 厲无咎.]”라고 하였다.

건건척약[乾乾惕若]  주역(周易) 건괘(乾卦) 구삼(九三)의 효사(爻辭)군자가 종일토록 힘쓰고 힘써 저녁까지도 두려워하면 위태로우나 허물이 없을 것이다.[君子終日乾乾 夕惕若 厲无咎]”라고 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