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아建牙, 건아健兒, 건아乾兒, 건악謇諤, 건악지배謇諤之輩

건아[建牙]  깃발을 세움. ()의 선두에 세우는 대기(大旗)를 아()라 한다. 전하여 무신(武臣)이 출전(出戰)하는 것을 이른다.

건아[建牙 무신(武臣)이 출진(出鎭)하는 것을 이른다. 군전(軍前)의 큰 깃발을 아기(牙旗)라 하는데, 출사(出師)하게 되면 아기를 세우게 된다.

건아[健兒]  ()나라 때 변방의 토병(土兵)을 가리키던 말이다. 두보(杜甫)의 세병마행(洗兵馬行)농가에서는 바라고 바라며 빗물이 마름 애석해하고, 뻐꾹새는 곳곳마다 봄에 파종함 재촉하네. 기수(淇水) 가에 건장한 병사들 돌아오기 게을리하지 말라, 성남(城南)에 그리워하는 부인들 시름에 겨워 꿈이 많다오.[田家望望惜雨乾. 布穀處處催春種. 淇上健兒歸莫懶, 城南思婦愁多夢.]”라고 하였다.

건아[健兒]  장사(壯士)를 이르는 말이다. 수 나라 말엽부터 기운이 세고 용맹한 젊은이들을 모집하여 건아(健兒)라는 군대를 조직하였으며, 당 나라 현종(玄宗) 연간에 행영(行營)의 건아 이계(李季)가 모반을 하였다가 복주(伏誅)된 일이 있다. <南史宗室傳> <新唐書 玄宗記>

건아[乾兒 소식(蘇軾)과 조운(朝雲) 사이에 태어난 사내아이의 이름이다. 돌을 맞기 전에 죽었다. 조운(朝雲)은 전당(錢塘)의 가기(歌妓)였다가 소식(蘇軾)의 여인이 된 왕조운(王朝雲)을 가리킨다. 소식이 혜주(惠州)로 유배되었을 때 여러 여인이 그를 떠나갔지만 오직 왕조운만이 소식을 혜주까지 따라가 뒷바라지를 하였다.

건악[謇諤]  거리낌 없이 바른 말을 함. 꿋꿋하고 강직하게 바른 말을 하는 자세. 직언(直言). 건악(謇愕)과 같다. 진서(晉書) 무제기(武帝紀)이치에 맞는 말을 꺼리지 않고 바르게 말하는 것은, 좌우에서 바라는 바이다.[讜言謇諤 所望於左右]”라고 보인다.

건악지배[謇諤之輩]  정관정요(貞觀政要)올곧은 말을 하는 무리들은 점차 임금의 노여움을 회피하고, 말 잘하고 아첨하는 무리들은 현란한 말주변을 부린다. 마음을 함께하는 자를 붕당한다고 하고, 남의 잘못을 들추어내는 자를 지극히 공정하다고 하고, 강직한 자를 권력을 멋대로 부린다고 하고, 충성하며 정직한 자를 비방한다고 한다.[謇諤之輩, 稍避龍鱗 ; 便佞之徒, 肆其巧辯. 謂同心者為擅權, 謂忠讜者為誹謗. 謂之為朋黨, 雖忠信而可疑 ; 謂之為至公, 雖矯偽而無咎.]”라고 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