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직擧職, 거직조왕擧直措枉, 거직착왕擧直錯枉, 거직착제왕擧直錯諸枉

거직[擧職]  폐기(廢棄)된 관직(官職)을 수복(修復)한 것이다.

거직조왕[擧直措枉]  논어(論語) 위정(爲政)애공(哀公)어떻게 하면 백성들이 복종합니까?’라고 묻자, 공자가 정직한 사람을 들어 쓰고 모든 굽은 사람을 버려두면 백성들이 복종하며, 굽은 사람을 들어 쓰고 모든 정직한 사람을 버려두면 백성들이 복종하지 않습니다.[擧直錯諸枉 則民服 擧枉錯諸直 則民不服]’ 하였다.”라고 한 것을 가리킨다.

거직조왕[擧直錯枉 공자(孔子)가 번지(樊遲)에게 곧은 자를 기용하고 굽은 자를 버려두면 굽은 자를 곧게 만들 수 있다.[擧直錯諸枉 能使枉者直]”라고 일러 주었는데, 번지가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고 자하(子夏)에게 물어보자, 자하가 순 임금이 천하를 소유하고는 많은 사람들 중에서 고요를 발탁하니 불인한 자들이 멀리 사라졌고, 탕왕이 천하를 소유하고는 많은 사람들 중에서 이윤을 발탁하니 불인한 자들이 멀리 사라졌다.[舜有天下 選於衆 擧皐陶 不仁者遠矣 湯有天下 選於衆 擧伊尹 不仁者遠矣]”라고 설명한 대목이 논어(論語) 안연(顔淵)에 나온다.

거직착왕[擧直錯枉 논어(論語) 위정(爲政)애공(哀公)어떻게 하면 백성이 복종합니까?’라고 물었다. 공자께서 대답하시기를 정직한 사람을 등용하고 모든 정직하지 않은 사람을 내치면 백성들이 복종하며, 정직하지 않은 사람을 등용하고 모든 정직한 사람을 내치면 백성들이 복종하지 않습니다.[哀公問曰 何爲則民服 孔子對曰 擧直錯諸枉 則民服 擧枉錯諸直 則民不服]’”라고 하였다.

거직착제왕[擧直錯諸枉]  노 애공(魯哀公)이 공자에게 어떻게 하면 백성이 복종하는지 묻자, 공자가 정직한 사람을 들어 쓰고 모든 굽은 사람을 버려두면 백성들이 복종하며, 굽은 사람을 들어 쓰고 모든 정직한 사람을 버려두면 백성들이 복종하지 않습니다.[擧直錯諸枉, 則民服; 擧枉錯諸直, 則民不服.]”라고 하였다. <論語 爲政>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