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이사명居易俟命, 거이소지擧爾所知, 거이양이居移養移, 거이정전居而靜專, 거이하루居夷何陋
❍ 거이사명[居易俟命] 맹자(孟子) 진심 하(盡心下)에 나오는 말이다. 또 중용장구(中庸章句) 제14장에 “군자는 평이함에 처하여 천명을 기다리며, 소인은 험괴함을 행하고 다행을 바란다.[君子居易以俟命 小人行險以徼幸]”라고 하였다.
❍ 거이소지[擧爾所知] 네가 아는 사람을 들어서 쓰라. 이 말은 논어(論語) 자로(子路)에 “중궁(仲弓)이 계씨(季氏)의 가신(家臣)이 되어 공자(孔子)에게 정사(政事)를 물으므로, 공자가 대답하기를 ‘먼저 유사(有司)에게 처리하게 하고 작은 허물은 놓아 주며 어진 인재를 들어 써야 할 것이다.’라고 했는데, 또 묻기를 ‘현재인 줄 어떻게 알고 천거해서 씁니까?[焉知賢才而擧之]’라고 하자, 공자는 ‘네가 알고 있는 사람을 천거해서 쓰면 네가 알지 못한 사람을 다른 이들이 그냥 놔두겠느냐.[擧爾所知 爾所不知 人其舍諸]’라고 하였다.”라고 한 데에 보인다. 네가 아는 인재를 등용하면 네가 모르는 인재를 사람들이 어찌 버려두겠는가? 즉 인재를 쓸 때 한꺼번에 모든 인재를 찾을 수는 없지만 먼저 아는 인재부터 등용해 쓰면 모르고 있던 인재들도 사람들이 추천해 쓸 수 있게끔 한다는 뜻이다.
❍ 거이양이[居移養移] 사람이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서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한 것을 말한다. 맹자가 제(齊)나라 왕자의 의젓한 풍채를 멀리서 바라보고는 “거처하는 곳이 기질을 바꾸고, 봉양을 받는 것이 체질을 변화시킨다. 그러니 그 생활환경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하겠는가.[居移氣 養移體 大哉居乎]”라고 탄식한 말이 맹자(孟子) 진심 상(盡心上)에 나온다.
❍ 거이이사명[居易以俟命] 군자는 현재의 지위에 안거(安居)하고 더 요행을 바라지 않음. 중용장구(中庸章句) 제14장에 “군자는 평이한 도리를 행하면서 천명을 기다리고, 소인은 위험한 짓을 행하면서 요행을 바란다.[君子居易以俟命 小人行險以徼幸]”라고 하였다.
❍ 거이익영[去而益詠] 소공이 죽은 후(後) 남국의 백성(百姓)이 그의 덕을 추모(追慕)하여 감당시(甘棠詩)를 읊었다.
❍ 거이정전[居而靜專] 자신의 본성을 잃지 않아 외물(外物)에 흔들리지 않는 것을 말한다. 주역(周易) 계사전 상(繫辭傳上)에 “대저 건으로 말하면 그 고요한 체(體)가 전일하기만 하다.[夫乾其靜也專]”라는 말이 나온다.
❍ 거이하루[居夷何陋] 공자가 동이족(東夷族)의 지역에서 살고 싶다고 하자[居九夷], 어떤 사람이 누추한 곳이라고 걱정을 하니 “군자가 살고 있다면 그 땅이 누추한들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君子居之 何陋之有]”라고 대답했던 고사가 있다. <論語 子罕>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