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촉擧燭, 거촉만노발炬燭萬弩發, 거총사위居寵思危, 거추사巨酋使, 거축해여성擧築諧汝聲, 거출녹파蕖出綠波

거촉[擧燭 본의 아닌 실수가 있어도 나중에 좋은 결과를 맺게 되는 것을 말한다. ()나라 영()에 사는 사람이 연()나라 상국(相國)에게 밤에 편지를 쓸 적에, 불이 어둡자 촛불을 들어라.[擧燭]”라고 명령하면서 자기도 모르게 거촉(擧燭)’이라는 두 글자를 편지 속에 잘못 기입하였다. 그런데 연나라 상국이 그 편지를 받고서 거촉은 밝음을 숭상하는 것인데, 밝음을 숭상하려면 현인을 발탁하여 등용해야 한다.[擧燭者 尙明也 尙明也者 擧賢而任之]”라고 생각하고는 왕에게 건의한 결과 나라가 잘 다스려졌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韓非子 外儲說左上>

거촉만노발[炬燭萬弩發]  전국 시대에 제()나라 장수 손빈(孫臏)이 그의 원수인 위()나라 장수 방연(龐涓)과 싸울 때 거짓으로 후퇴하여 방연의 군사들을 유인하였는데, 상대를 안심시키기 위해 매일 아궁이 숫자를 줄여 군사들이 도망친 것처럼 위장하였다. 그런 다음 위나라 마릉(馬陵)이란 곳에 군사들을 매복시키고 방연이 지나갈 곳에 있는 큰 나무를 깎아 방연이 이 나무 아래에서 죽으리라.”라고 써 놓고는 방연의 군대를 끌어들였다. 과연 방연이 밤에 그 나무 아래 와서 횃불을 켜고 글을 읽었는데, 손빈의 군사들이 일제히 쇠뇌를 발사하여 위군을 전멸시켰다. <史記 卷65 孫臏列傳>

거총사위[居寵思危]  득의시(得意時)에는 실의(失意)할 때가 있을 것을 생각하여 조심하라는 말이다. 서경(書經) 주서(周書) 주관(周官)총애를 받으면 위태로움을 생각하여 두려워하라. 두려워하지 아니하면 두려움에 함몰되리라.[居寵思危, 罔不惟畏, 弗畏入畏.]”라고 한 데서 보인다. 거안사위(居安思危).

거추사[巨酋使]  대신사(大臣使)를 포함한 유력 대명(大名)의 사신을 가리킨다. 해동제국기(海東諸國記) 제사정례(諸使定例)에 의하면 전산(畠山), 세천(細川), 좌무위(左武衛), 경극(京極), 산명(山名), 대내(大內), 소이(小二) 등을 거추(巨酋)라 한다.”고 규정하여 성종실록 71월 병자조에 기록된 관제대신(管提大臣) 6명 이외에 소이(小二)씨를 포함시키고 있다.

거축해여성[擧築諧汝聲] 집터 등을 다질 때 함께 노래하듯 소리지르는 것을 가리킨다. ‘은 땅을 다질 때 사용하는 도구 달구를 가리킨다. 진림(陳琳)의 음마장성굴행(飮馬長城窟行)관청에서 하는 일 기한 있으니, 노래하며 달구질이나 하라고 하네. 사내로서 싸우다가 죽을지언정, 답답한 속으로 장성을 쌓을 수는 없네.[官作自有程, 擧築諧汝聲. 男兒寧當格鬪死, 何能怫鬱築長城.]”라고 한 데서 보인다.

거출녹파[蕖出綠波]  삼국 시대 위()나라 조식(曹植)의 낙신부(洛神賦)에 하락(河洛)의 여신(女神)인 복비(宓妃)를 묘사하여 연꽃이 푸른 물결 위로 솟구친 듯 선명도 하다.[灼若芙蕖出綠波]”라고 표현한 말이 나온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