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는 자식교육이 어렵고 학자는 생계가 어렵다 /圍爐夜話위로야화/
부유한 집안의 관습은
교만하고 사치하여
자식 교육이 제일 어렵고,
가난한 선비가
생계를 도모해야 하는 것은
도리어 책을 읽기 때문이다.
富家慣習驕奢, 最難敎子.
부가관습교사, 최난교자.
寒士欲謀生活, 還是讀書.
한사욕모생활, 환시독서.
부가관습교사, 최난교자.
寒士欲謀生活, 還是讀書.
한사욕모생활, 환시독서.
<圍爐夜話위로야화>
❍ 관습[慣習] 한 사회에서 역사적으로 굳어진 전통적 행동 양식이나 습관. 익은 습관(習慣). 사회(社會)의 습관(習慣). 개인(個人)의 버릇.
❍ 교사[驕奢] 교만(驕慢)하고 사치(奢侈)스러움.
❍ 교자[教子] 자녀를 교육하다. 자녀를 가르치다.
❍ 한사[寒士] 가난하거나 권력 없는 선비. 가난한 서생. 貧窮的讀書人.
❍ 도모[圖謀]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하여 대책과 방법을 세움.
❍ 생활[生活] 살아서 활동함. 생계(生計)를 유지하여 살아나감. 먹고 입고 쓰고 하는 등의 살림살이. 일정한 조직체에 매여 구성원으로 활동함. 생명이 있는 동안 살아서 경험하고 활동함.
❍ 생계[生計] 살아갈 방도나 형편. 살림을 살아 나갈 방도. 또는 현재 살림을 살아가고 있는 형편.
❍ 도모[圖謀]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하여 대책과 방법을 세움.
❍ 환시[還是] 아직도. 여전히. ~하는 편이 더 좋다. 또는. 아니면. 이처럼.
❍ 환[還] ‘도리어’의 뜻 외에 ‘또’, ‘아니면’, ‘돌아가다’의 의미가 있다.
【譯文】 有錢人習慣奢華自大, 要教好孩子便成爲困難的事 ; 貧窮的讀書人想要討生活, 還是要靠讀書.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