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기車騎, 거기擧旗, 거기부정擧棋不定, 거기위풍擧旗爲風

거기[車騎]  수레와 기병. 거마(車馬). 한나라 때의 장군의 명칭. 병거(兵車)와 기마(騎馬).

거기[車騎]  거기는 동한(東漢)의 거기장군(車騎將軍) 두헌(竇憲)인데, 후한(後漢) 영원(永元) 1(89)에 두헌이 북선우(北單于)를 크게 격파하고 연연산에 올라가 공적을 새겨 비석을 세울 때 반고(班固)가 봉연연산명(封燕然山銘)을 지었다. <後漢書 卷23 竇憲列傳)>

거기[車騎]  동한의 거기장군(車騎將軍) 두헌(竇憲)을 이른다. 화제(和帝) 때에 두헌이 거기장군이 되어 군대를 거느리고 흉노를 격파하여 3000여 리 밖으로 쫓아내고 연연산(燕然山)에 올라가 바위에 자신의 공로를 새기고 아울러 한()나라의 위덕(威德)도 새겼다. <後漢書 卷23 竇融列傳 竇憲>

거기[擧旗]  기를 쳐듦. 거기한량(擧旗閑良)이 무겁(활터의 과녁 뒤에 흙으로 둘러싼 곳)에서 기를 가지고 화살의 맞고 안 맞음을 신호(信號)하는 것을 이른다.

거기[詎幾]  얼마만큼. 많지 않은 것을 가리킨다.

거기구염이복기성초[去其舊染而復其性初 지난날 오염된 것을 제거하여 성()의 처음 상태를 회복함. 구염(舊染)은 구습지염(舊習之染)의 줄임말, 복기성초(復其性初)는 본성의 처음 상태, 곧 순선무악(純善無惡)한 본래의 상태를 회복한다는 뜻으로 줄여서 복성(復性)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거기부정[擧棋不定]  일에는 명확한 방침이 없다. 바둑에서 돌을 쥐긴 했으나 어디에 놓으면 좋을지 정해지지 않은 것.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한다.

거기위풍[擧旗爲風]  ()나라 장뢰(張耒)의 마애비후(磨崖碑後)깃발을 들면 바람을 일으키고 눕히면 비가 되나니, 구묘를 깨끗이 씻어 먼지 없게 하였네.[擧旗爲風偃爲雨 洒掃九廟無塵埃]”라는 말이 나온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