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생更生, 갱생지신更生之辰, 갱슬鏗瑟, 갱시賡詩, 갱시更是, 갱시更始, 갱심更甚

갱생[更生]  ()를 뉘우치고 마음이 새로워짐. 생활 태도나 정신이 본래의 바람직한 상태로 되돌아감. 거의 죽을 지경(地境)에서 다시 살아남. 일단 못 쓰게 된 것을 손질하여 다시 쓰게 됨. 갱생하다. 다시 생명을 얻다. 부흥하다. 떨쳐 일으키다. 흥성하게 하다.

갱생지신[更生之辰]  거의 죽을 지경에서 다시 살아날 수 있는 때라는 뜻이다.

갱슬[鏗瑟]  갱슬은 공자(孔子)가 증점(曾點)에게 자기 뜻을 말해 보라고 했을 때, 증점이 대답하기 위해 타던 비파를 땅에 놓는 것[鏗爾舍瑟]을 가리킨 말이다. 증점은 무우에서 바람을 쐬고[風乎舞雩] 읊으며 돌아오겠습니다.”라고 하였다. <論語 先進>

갱슬천기동[鏗瑟天機動 공자가 여러 제자들에게 각자의 뜻을 말해보라고 했을 때, 증점(曾點)이 말하기를 늦은 봄에 봄옷이 이루어지면 관자(冠者) 5, 6, 동자(童子) 6, 7인과 함께 기수(沂水)에서 목욕하고 무우(舞雩)에서 바람을 쐬고 시가(詩歌)를 읊으면서 돌아오겠습니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論語 先進> 곧 물욕에 흔들리지 않고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는 사람의 고상한 인품을 의미한다.

갱시[賡詩]  갱가(賡歌)와 같은 뜻으로, 군신 간에 노래를 서로 이어 부르거나 시를 서로 이어짓는 것을 말한다. 갱가(賡歌)는 임금과 신하가 노래를 서로 이어 부르는 것을 이르는 말로, 서경(書經) 익직(益稷)에 다음 내용이 있다. () 임금이 일찍이 노래를 지어 부르기를 손발 같은 신하들이 기꺼이 일을 하면 원수의 다스림이 흥기되어 백관이 모두 기뻐할 것이다.[股肱喜哉 元首起哉 百工熙哉]”고 하자, 고요(皐陶)가 두 손 모아 절하고 머리를 조아리면서 큰소리로 말하기를 유념하시어 신하들을 거느리고 일을 하시되 법도를 삼가사 공경하시며, 일이 이루어짐을 자주 살피사 공경하소서.[念哉 率作興事 愼乃憲 欽哉 屢省乃成 欽哉]”라 하고, 노래를 이어 부르기를 임금이 밝으시면 신하들이 어질어서 모든 일이 편안해질 것입니다.[元首明哉 股肱良哉 庶事康哉]”라고 하였다.

갱시[更是 바로 ~이다.

갱시[更始]  갱시는 갱시장군(更始將軍) 유현(劉玄)을 가리킨다. 유현이 용렬하다는 것은 남양(南陽)의 등우(鄧禹)가 광무제(光武帝) 유수(劉秀)의 휘하로 귀의하면서 유현에 대해 평한 말이다.

갱심[更甚]  더욱 심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