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태공姜太公, 강통江統, 강퇴비부彊退非夫

강태공[姜太公 중국 주()나라 초기의 정치가로 주() 나라 문왕(文王)의 스승이다. 본명은 강상(姜尙)이다. ()나라에 봉해져 여상(呂尙)이라고도 하고 태공망(太公望)이라고 한다. 백이(伯夷), 숙제(叔齊)와 달리 무왕(武王)을 도와 주왕(紂王)을 쳐 은나라를 멸망시키고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무왕을 훌륭한 임금이 되도록 보필하였다. 그가 아직 불우(不遇)하였을 때 늙은 몸으로 위수(渭水) 가에서 낚시질하며 때를 기다렸다. 그의 낚시는 곧은 낚시였다고 전하니, 고기 잡는 것이 목적이 아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강태공[姜太公]  ()나라 초기 때 사람으로 본명은 강자아(姜子牙)이며, 그의 선조가 여()나라에 봉하여졌으므로 여상(呂尙)이라 불렸고, 태공망(太公望), 태공(太公) 또는 강상(姜尙), 사상보(師尙父)등 다양하게 불린다. 팔십 평생을 낚시질을 하면서 때를 기다렸다고 하는데, 고기 잡는 일이 목적이 아니었기 때문에 낚싯바늘은 곧게 펴서 물에 드리웠다고 한다. 위수(渭水)에 낚시를 드리우고 때를 기다린 지 10여 년 만에 주나라 문왕(文王)을 만나 초빙된 다음, 문왕의 스승이 되었다. 문왕은 그가 조부인 태공(太公)이 항시 바라던 사람이라는 뜻에서 태공망(太公望)이라고 했다. 병법 이론에 밝아서 문왕이 죽은 뒤에 무왕(武王)을 도와 목야(牧野) 전투에서 은()나라 주()왕의 군대를 물리치고 주()나라를 세우는데 큰 공을 세웠다. 나중에 제() 땅을 영지로 받아 제()나라의 시조(始祖)가 되었다.

강태공[姜太公]  낚시질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로 고대 중국 주나라 태공망(太公望)에게서 비롯되었다.

강통[江統]  강통은 중국 진()나라 때 진류(陳留) 사람으로, 자는 응원(應元)이다. 벼슬은 산기상시(散騎常侍)에 이르렀다. 원강(元康) 9년에 사융론(徙戎論)을 지어 혜제(惠帝)에게 올렸는데, 융인(戎人)과 적인(狄人)을 색출해서 몰아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晉書 卷56 江統列傳>

강퇴비부[彊退非夫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선공(宣公) 12년에 일개 부대를 편성하여 나왔다가 적이 강하다는 말을 듣고 물러선다면 대장부가 아니다.[成師以出 聞敵彊而退 非夫也]”라는 말이 나온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