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파糠簸, 강패江牌, 강퍅剛愎, 강퍅자용剛愎自用, 강편수姜編修, 강평剛平

강파[糠簸]  ()나라 때 손작(孫綽)이 평소에 남 조롱하기를 좋아했는데, 한번은 습착치(習鑿齒)와 함께 길을 가다가, 손작이 앞에 가면서 습착치를 돌아보고 말하기를 곡식을 일어 모래를 가리면 자갈이 뒤에 처지게 된다.[沙之汰之, 瓦石在後.]”라고 조롱하자, 습착치가 바로 이어 응수하기를 곡식을 키질하여 까부르면 겨와 쭉정이가 앞으로 나가게 된다.[簸之颺之, 糠粃在前.]”라고 한 고사에서 온 말이다. <晉書 卷五十六 孫綽傳>

강패[江牌]  도박 기구의 한 가지의 투전(鬪牋)을 가리킨다.

강퍅[剛愎]  성미가 까다롭고 고집이 셈. 좌전(左傳) 선공(宣公) 12년 조에, ()나라와 초()나라 전쟁에서 손숙오(孫叔敖)는 계속 후퇴할 것을 주장했으나, 대부(大夫) 오삼(伍參)이 초장왕(楚莊王)을 찾아가 싸우자고 강력히 주장하면서 진나라의 지휘부(순림보)는 중군의 주장에 임명된 지 얼마 되지 않기 때문에 그의 명령을 따르는 사람이 별로 없습니다. 그리고 부장인 선곡은 고집이 세고 인정머리가 없기 때문에 명령에 따르려 하지를 않습니다. ······ 이번에 나가면 진나라 군대를 분명 패퇴시킬 수 있습니다.[伍參言於王曰, 晉之從政者新, 未能行令. 其佐先縠剛愎不仁, 未肯用. ······ 篳此行也, 晉師必敗.]”라고 한 데서 보인다. 초장왕은 손숙오를 시켜 반격을 하게 했다. 진나라 군대는 참패하고 초군은 승리를 거두었다. , 한비자(韓非子) 십과(十過), 환공(齊桓公)이 관중(管仲)에게 포숙아(鮑叔牙)에게 정치를 맡기면 어떨지를 물으니, 관중이 대답하기를 안됩니다. 포숙아는 인물이 사납고 고집이 세며 포악합니다. 사나우면 백성을 난폭하게 다룰 것이며, 고집이 세면 인망을 얻지 못할 것이며, 포악하면 백성이 일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 그는 생각이 천박하므로 패자의 보좌에는 부적당합니다.[不可. 鮑叔牙爲人, 剛愎而上悍. 剛則犯民以暴, 愎則不得民心, 悍則下不爲用. 其心不懼, 非霸者之佐也.]”라고 한 데서 보인다.

강퍅자용[剛愎自用]  고집불통. 자기의 주장만 고집하면서 제멋대로 하는 경우를 비유하는 말이다. 강퍅(剛愎)은 성미가 까다롭고 고집이 센 것이고, 자용(自用)은 남의 말을 듣지 않고 자기 생각대로만 하는 것을 이른다. 공자가 이르기를 어리석으면서도 자용하기를 좋아하고, 지위가 낮으면서도 자전하기를 좋아하고, 지금 세상에 나서 옛 도를 행하려 한다면, 이러한 사람은 재앙이 그 몸에 미칠 것이다.[愚而好自用 賤而好自專 生乎今之世 反古之道 如此者 災及其身者也]”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中庸章句 第28>

강편수[姜編修]  중국 한림원(翰林院)의 편수 강왈광(姜曰廣)을 말한다. 인조 4년에 황자 탄생의 조서를 반포하기 위해 우리나라에 왔다.

강평[剛平]  강평(剛平)은 위()나라 땅으로 지금의 하남성(河南省) 청풍현(淸風縣: 淸豊縣) 경내에 있었는데, 조 경후(趙敬侯) 4년에 이곳에 성()을 쌓아 읍()을 만들었으며, 경후(敬侯) 5년 제()나라와 위()나라가 조()나라를 침공하여 강평을 취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