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여분江漢汝墳, 강한유녀江漢遊女, 강한이탁江漢以濯,

강한여분[江漢汝墳]  강한(江漢)은 장강(長江)과 한수(漢水) 사이의 지역을 말한다. 여분(汝墳)은 여수(汝水)의 제방인데 그 주변 지역을 말한다.

강한영광광[江漢詠洸洸]  강한에는 시 읊음이 용맹스러움. 시전(詩傳)에 있는 강한(江漢)편을 말함인데 주나라 문왕이 남쪽 한강(漢江)유역까지 미친 것을 노래한 시이다. 그것으로 새 임금의 덕화(德化)를 말함이다.

강한유녀[江漢遊女]  () 나라 때 문왕(文王)의 아름다운 도()가 남쪽 나라에 영향을 끼치자 강한에 놀러 나온 여자들도 예()를 알아서 음란한 행동을 하지 않게 되었다 한다. 시경(詩經) 주남(周南) 한광(漢廣)한수(漢水)에 놀러 나온 여자가 있으니, 구할 수 없도다.[漢有遊女 不可求思]”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 부분의 주석을 간추려 보면, 강한(江漢)의 풍속은 여자들이 놀기를 좋아하였는데 문왕(文王)의 교화가 미치자 풍속이 변하여, 놀러 나온 여자들이 하나같이 단정하고 정숙하여 전날처럼 구할 수 있는 바가 아니라는 내용이다.

강한이탁[江漢以濯]  증자(曾子)가 공자(孔子)의 도덕을 높이 칭송한 말이다. 공자(孔子)가 죽은 뒤에 공자의 제자인 자하(子夏), 자장(子張), 자유(子游)가 유약(有若)의 기상(氣象)이 공자와 비슷하다 하여, 공자를 섬기던 예로 유약을 섬기려 하였는데, 이를 증자(曾子)에게도 강요하자, 증자가 말하기를 불가하다, 부자의 도는 강수·한수로 씻은 듯이 광휘가 나며, 가을볕으로 쬔 듯이 결백한지라, 그 결백함을 더할 수가 없다.[不可 江漢以濯之 秋陽以暴之 皓皓乎不可尙已]”라고 하여 이들의 주장을 꺾었다. <孟子 滕文公上>

강한이탁지추양이폭지[江漢以濯之秋陽以暴之]  강한(江漢)의 물과 추양(秋陽)의 볕은 맑고 깨끗하고 조촐한 극치(極致)로서 더할 나위 없음, 곧 공자(孔子)의 지덕(至德)이 순수(純粹)함을 비유한 말이다. <孟子 滕文公上>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