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하絳河, 강하만고류江河萬古流, 강하무쌍江夏無雙, 강하불능실루치江河不能實漏巵

강하[江夏]  ‘강하(江夏)의 황동(黃童)’으로 일컬어지던 황향(黃香)을 이른다. 후한(後漢) 때의 강하(江夏) 안륙(安陸) 사람으로 자가 문강(文強)이다. 황향이 어릴 때 집이 가난하여 부지런히 일해 부모를 봉양하고 경전(經傳)을 배워 문장에 능하니, 사람들이 천하무쌍이라, 강하 황동이여.[天下無雙 江夏黃童]”라고 하였다. <後漢書 卷110上 文苑列傳 黃香>

강하[江夏 강하군(江夏郡). 중국의 지명이다. 후한(後漢) 때 강하인(江夏人) 황향(黃香)9세에 어머니를 잃고 지극한 효성으로 아버지를 섬겨, 겨울에는 몸으로 잠자리를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는 침석(枕席)에 부채질을 하였다는 고사가 있다.

강하[絳河]  은하수(銀河水). 강하(絳河)는 은하수가 북극성의 남쪽에 있기에 남방의 색인 붉은색으로 물든 것을 묘사한 것이다.

강하[江河]  ()과 하천(河川). 중국의 양자강(揚子江)과 황하강(黃河江)을 통틀어 이르는 말.

강하만고류[江河萬古流]  문장이 매우 뛰어남을 표현한 말이다. 두보(杜甫)의 희위육절(戲爲六節) 시의 둘째 수에, 초당사걸(初唐四傑)로 유명한 양형(楊炯), 왕발(王勃), 노조린(盧照鄰), 낙빈왕(駱賓王)의 시문을 당시의 경박한 문사(文士)들이 비웃는 것을 두고 양왕노락의 당시 문체를, 경박하게 글짓는 이들 비웃어 마지않누나. 너희는 몸과 이름이 함께 사라지겠지만, 없어지지 않는 강하는 만고에 흐르리라.[楊王盧駱當時體 輕薄爲文哂未休 爾曹身與名俱滅 不廢江河萬古流]”라고 하였다. <杜少陵詩集 卷11>

강하무쌍[江夏無雙]  동한(東漢)의 관리이자 이십사효(二十四孝) 중 한 사람인 황향(黃香)을 가리킨다. 아홉 살 때 벌써 부모를 모시는 이치를 알아 이름이 도성까지 알려지면서 사람들 입에 세상에 강하의 황향을 당할 효자가 없다.[天下無雙, 江夏黃香.]”라는 말이 회자되었다. 여름에는 부모의 잠자리 옆에서 부채질을 하고 겨울에는 자신의 체온으로 따뜻하게 만든 이불에 부모를 잠들게 한 선침온금(扇枕溫衾) 고사의 주인공이다.

강하불능실루치[江河不能實漏巵]  회남자(淮南子) 범론훈(氾論訓)지금 낙숫물 방울도 충분히 항아리를 채워 넘칠 수 있지만, 강하의 큰물도 새는 술잔은 채울 수는 없나니, 사람의 마음도 이와 같은 것이다.[今夫霤水足以溢壺榼 而江河不能實漏巵 故人心猶是也]”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