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江左, 강좌루江左淚, 강좌명류江左名流, 강좌사안석江左謝安石

강좌[江左]  고대에는 동()쪽을 좌()로 보았기 때문에 강좌(江左)는 강동(江東)을 가리킨다. 장강(長江) 하류의 동쪽, 즉 강동(江東)을 가리킨다. 구광정(丘光庭)은 겸명서(兼明書) 잡설(雜說) 강좌(江左)에서 진과 송과 제와 송의 사서에서 모두 강동을 강좌라 했다.[晉宋齊梁之書, 皆謂江東爲江左.]”라고 하였다. 남조(南朝) 때 사람들이 동진(東晉)을 일러 한 말이기도 하다.

강좌[江左 강동(江東)이라 불리는 양자강 하류의 동쪽 지역이다. 동진(東晉)을 위시하여 남조(南朝)의 송(), (), (), () 왕조의 기업(基業)이 모두 강좌에 있었으므로 이 다섯 왕조와 그 통치 지역을 지칭한다. 강북에서 오호 십육국이 난립할 때에도 강남은 송(((() 등 한족 정권을 유지하였다. 강좌는 강남(江南)이나 강동(江東)과 같은 말이다.

강좌[江左 강좌는 양자강 하류의 동쪽 지역을 말한다. ()나라가 중원을 외적에게 빼앗기고 강좌 지역에 와서 동진(東晉)을 세웠는데, 이 나라에서 가장 명망 있는 가문[江左望]으로는 왕씨(王氏)와 사씨(謝氏)가 있었다. 당시 공경(公卿) 장상(將相) 열 명 가운데 일고여덟이 이 두 가문에서 나왔다고 한다.

강좌[江左]  강좌는 양자강(揚子江) 남쪽인 강동(江東) 지방으로, () 나라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에 쫓겨 강동 지역인 건강(建康)에 천도(遷都)하였다. 이 때문에 동진(東晉)이라 칭하였으며, 이후 남조(南朝)와 북조(北朝)로 나뉘었다가 수() 나라 때에 이르러 통일되었다.

강좌[江左]  양자강(揚子江)의 동쪽 지역을 이르는 말로, 동진(東晉)과 남조(南朝)의 송(((()은 모두 양자강 동쪽 지역에 도읍하였기 때문에 이 다섯 왕조 및 다스렸던 지역을 가리켜 강좌(江左)라 하였다. 그러나 남조(南朝) 사람들은 오직 동진(東晉)을 가리켜 강좌(江左)라고 하였다. 이 시기에는 노장(老莊)을 숭상하여 청담(淸談)이 유행하였다.

강좌루[江左淚]  강좌(江左)의 눈물[]은 나라가 망한 것을 슬퍼하는 눈물이다. 강좌는 양자강(揚子江) 남쪽인 강동(江東) 지방으로, ()나라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에게 쫓겨 천도한 지역이다. 진나라 왕실이 양자강 이남으로 천도하였을 때 벼슬아치들이 한가한 날 신정(新亭)에 나와 술을 마셨다. 이때 주의(周顗)가 그 가운데 앉았다가 풍경은 다르지 않으나 눈을 들어보니 강하가 다르구나.[風景不殊, 擧目有江河之異.]”라고 탄식하였다. <晉書 卷65 王導列傳>

강좌명류[江左名流 강좌는 중국 장강(長江) 하류의 동쪽 지역으로, 오늘날 강소성(江蘇省) 일대이고 명류는 명사와 같은 뜻인데, 동진(東晉) 때 강좌에서 명사로 불리던 왕도(王導사안(謝安)등을 가리킨다.

강좌사안석[江左謝安石]  강좌(江左)는 중국 강동(江東)지역으로, 사안석(謝安石)이 절강(浙江) 소흥(紹興) 사람이기 때문에 한 말이다. 사안석은 진()나라 때의 명신(名臣) 사안(謝安)으로 안석은 그의 자이다. 전진(前秦) 부견(苻堅)의 백만 군을 격파 평정하였고, 또 진실(晉室)을 찬탈하려던 대사마(大司馬) 환온(桓溫)의 음모를 깨뜨려 이루지 못하게 함으로써 진나라를 반석같이 보호하였다. <晉書 卷79 謝安列傳>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