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조江調, 강조康兆, 강조석江祖石, 강조운江潮韻, 강족强族, 강종强宗

강제[江淛 강절(江浙)과 같은 말로, 강소(江蘇)와 절강(浙江)의 약칭이다.

강제[講製 과거의 시험 형식으로 강경(講經)과 제술(製述)을 가리킨다.

강제[康濟]  구제하다. 안무구조(按撫救助). 보양(保養).

강조[江調 강조는 즉 악부(樂府)의 강남조(江南調)로서 채련(采蓮채릉(采菱) 등의 곡조를 말한다.

강조[康兆 고려 시대의 무신으로, 목종 때 중추사우상시(中樞使右常侍)로서 서북면도순검사가 되었다. 1009(목종12) 정변을 일으켜 대량군(大良君) ()을 옹립하고 목종을 시해하였다. 현종 즉위 후 중대사(中臺使)가 되었다. 거란의 성종이 목종을 시해한 데 대한 문죄라는 명목으로 40만 대군으로 침입해 오자 30만의 군사로 통주(通州)에서 싸우다 사로잡혀 살해되었다.

강조[腔調]  음악, 가곡 등의 가락. 악곡의 성률(聲律)이다.

강조석[江祖石]  귀지현(貴池縣) 서남쪽 20리 청계(淸溪) 북쪽에 위치한다. 산허리에 신선이 노닐었다는 흔적이 남아있는데, 강신(江神)이 넘어왔다는 전설 때문에 강조석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석벽의 높이가 수십 장이나 되며 서쪽으로 통천문(通天門)이 있다. 밑으로는 청계와 닿아있는데 그 모습이 병풍에 그려놓은 그림처럼 아름답다. 바위 위에는 마애석불이 많이 남아있으며, 이백의 시도 그곳에 새겨져 하다. 추포선경(秋浦仙景)의 빛나는 진주와도 같다는 찬사를 듣는 곳이다.

강조운[江潮韻 당나라 시인 송지문(宋之問)의 영은사(靈隱寺)누대에 올라 창해의 해를 보고, 창문에서 절강의 파도를 대하네.[樓觀滄海日, 門對浙江潮.]”라는 구절을 가리킨다. 소동파가 이 구절을 염두하고서 강조의 시를 잇고자 하니, 그 누가 나를 상기시키려나.[欲繼江潮韻, 何人爲起予?]”라고 하였다. <東坡全集 卷4 獨遊富陽普照寺>

강족[羌族 고대 중원의 서북쪽에 살던 민족이다. 강적(羌笛)은 강족(羌族)이 사용하던 악기를 말하는데 군악(軍樂)에 많이 사용되었다.

강족[强族]  앞의 제()나라의 전씨(田氏), ()나라의 소씨(昭氏굴씨(屈氏경씨(景氏) 등 예전 육국(六國)의 왕가(王家)와 명문대가를 가리킨다.

강종[强宗]  권력가의 종족. 돈과 세력이 있는 가문. 세력이 막강한 호문대족(豪門大族)을 이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