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결질박介潔質樸, 개경蓋傾, 개경開徑, 개경사開慶寺, 개계芥雞, 개계開繼

❍ 개결질박[介潔質樸] 성품이 꼿꼿하고 깨끗하며 질박함을 이른다신당서(新唐書원덕수전(元德秀傳)에 원덕수(元德秀)는 성품이 꼿꼿하고 깨끗하고 질박하니사대부들이 모두 그의 높은 행실에 탄복하였다.[德秀性介潔質樸士大夫皆服其高.]”라고 한 데서 보인다.

❍ 개경[蓋傾] 경개(傾蓋). 수레를 멈추고 일산을 기울인다는 뜻으로길에서 잠깐 만나는 것을 뜻한다사기(史記83 추양열전(鄒陽列傳)에 속어에 백발이 되도록 오래 사귀어도 처음 사귄 듯하고수레를 멈추고 잠깐 만났어도 오래 사귄 듯하다.’라고 하였으니그 까닭은 무엇인가서로를 아느냐 모르느냐에 달려 있다.[諺曰白頭如新傾蓋如故何則知與不知也.]”라고 하였다.

❍ 개경[開徑] 길을 내다동한(東漢)의 조기(趙歧)가 쓴 삼보결록(三輔決錄)에 장후는 자가 원경인데 집 정원에 샛길 세 개를 만들어두고 오직 양중과 구중 두 사람만을 불러 어울렸는데그 둘은 모두 고상하고 청렴하며 명리를 멀리하는 선비였다.[蔣詡字元卿舍中三徑唯羊仲裘仲從之遊二仲皆雅廉逃名之士.]”라고 하였다장후는 왕망(王莽)이 전권을 휘두를 때 연주자사(兗州刺史)에서 물러나 고향으로 내려가 은거하였다이후 개경(開徑開逕)이란 말은 소수의 고상한 인물만을 접대하고 관리들과는 어울리지 않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참고로고금사문유취(古今事文類聚전집(前集4에 ()나라의 부호(富豪왕원보(王元寶)가 큰 눈이 올 때마다 자신의 거처에서부터 동네 어귀까지 눈을 쓸어 길을 내고 빈객을 맞이하여 술자리를 열었다[巨豪王元寶毎大雪則自所居至坊巷口掃雪開徑迎揖賓客飲宴.]”는 고사가 있다.

❍ 개경[開徑] 오솔길을 열다오솔길을 치우다전한 말엽에 왕망(王莽)이 황권을 찬탈하자 연주자사(兗州刺史)였던 장후(蔣詡)는 병을 핑계로 벼슬에서 물러나 고향인 두릉(杜陵)에 은거하면서 바깥출입을 하지 않았다그는 집에 있는 대나무 숲에는 세 개의 샛길이 있었는데 평소에는 문을 닫아두고 손님 맞기를 사양하다가 오랜 친구인 구중(求仲)과 양중(羊仲두 사람이 찾아올 때만 이 길을 통해 안으로 들게 했다두 사람은 모두 입신양명을 멀리한 고사(高士)였다이후로 삼경(三徑三逕)은 조정에 출사하지 않고 은거한 사람들을 뜻하게 되었다도잠(陶潛)의 귀전원(歸田園)에 내 본심이 정히 이와 같으니오솔길 내고 좋은 친구만 바라노라.[素心正如此開逕望三益.]”라고 하였다장사삼경(蔣舍三徑). 도잠삼경(陶潛三徑).

❍ 개경사[開慶寺경기도 양주군 검암산 남쪽에 있던 절로서건원릉의 재궁(齋宮)이다태종(太宗) 8(1408)에 개경사로 명명하고 조계종에 예속시켰으며태종 10년에 경주 백률사 전단관음상(栴檀觀音像)을 이 곳으로 옮겼다.

개계[芥雞] 개계(芥雞)는 개계(介雞)와 같은 말로, 닭에 갑옷을 입혀서 싸우게 하는 것, 혹은 겨자를 뿌려서 상대의 닭이 눈을 뜨지 못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춘추 시대 노()나라 계씨(季氏)와 후씨(郈氏)의 닭이 서로 싸울 적에, 계씨가 자기 닭에 갑옷을 입혀서 상대의 닭이 찍지 못하게 하니, 후씨가 닭의 발톱에 쇠붙이를 끼워 공격하였다[季郈之雞鬭 季氏介其雞 郈氏爲之金距]는 말이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소공(昭公) 25년 조에 나온다. 또 계씨가 자기 닭의 깃털에 겨자를 뿌렸다[季氏芥雞羽]는 말이 사기(史記) 33 노주공세가(魯周公世家)에 나온다.

개계[開繼] 개계(開繼)는 계왕성개래학(繼往聖開來學)을 이르는 말로, 과거 성인의 학문을 계승하고 미래의 학자들에게 열어서 보여 주는 일을 말한다. 주희는 중용장구(中庸章句) 서문에서 공자의 덕을 찬양하면서 옛 성인을 잇고 후대의 학자를 열어 준 것은 그 공이 도리어 요순보다도 낫다.[繼往聖開來學, 其功反有賢於堯舜者.]”라고 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