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관改觀, 개관내료蓋棺乃了, 개관논정蓋棺論定, 개관사방정蓋棺事方定, 개관사시정蓋棺事始定

개관[改觀] 면목(面目)을 일신(一新). 견해를 바꿈. 변모하다. 도로 일어서다. 면모를 일신하다. 변용(變容).

개관[蓋棺] 사람이 죽어 시체를 관에 넣고 뚜껑을 닫는 것을 이른다.

개관내료[蓋棺乃了] () 뚜껑을 덮는다는 것은 곧 죽음을 말한다. ()나라 유의(劉毅)의 말에 장부의 종적은 군소배들과 한데 섞일 수 없는 것이니, 관 뚜껑이 덮인 다음에야 일생 사업의 시비가 정해진다.[丈夫蹤跡 不可尋常混群小中 蓋棺事方定矣]”라고 하였다. <錦繡萬化谷 卷26>

개관논정[蓋棺論定] 명사(明史) 182 유대하열전(劉大夏列傳)인생은 관 뚜껑을 덮어야 결론이 나는 법이니, 하루라도 아직 죽지 않았다면 그 하루만큼 아직 책임이 끝나지 않은 것이다.[人生蓋棺論定 一日未死 卽一日憂責未已]”라는 말이 나온다. 두보(杜甫)의 군불견간소혜(君不見簡蘇徯) 시에도 장부는 관 뚜껑을 덮어야만 일이 비로소 정해지는 법이다.[丈夫蓋棺事始定]”라는 구절이 보인다. <杜少陵詩集 卷18>

개관료[盖棺了] () 뚜껑을 덮는다는 것은 곧 죽음을 말한다. ()나라 유의(劉毅)의 말에 장부의 종적은 군소배들과 한데 섞일 수 없는 것이니, 관 뚜껑이 덮인 다음에야 일생 사업의 시비가 정해진다.[丈夫蹤跡 不可尋常便混群小中 蓋棺事方定]”라고 하였다.

개관만사[盖棺萬事] () 뚜껑을 덮는다는 것은 곧 죽음을 말하고, 만사는 곧 죽은 뒤에 평판을 받게 되는 일생 행적의 전부를 가리킨다. ()나라 유의(劉毅)의 말에 장부의 종적은 군소배들과 한데 섞일 수 없는 것이니, 관 뚜껑이 덮인 다음에야 일생 사업의 시비가 정해진다.[丈夫蹤跡 不可尋常混群小中 蓋棺事方定]”라고 하였다.

개관사방정[蓋棺事方定] () 뚜껑을 덮는다는 것은 곧 죽음을 말한다. ()나라 유의(劉毅)의 말에 장부의 종적은 군소배들과 한데 섞일 수 없는 것이니, 관 뚜껑이 덮인 다음에야 일생 사업의 시비가 정해진다.[丈夫蹤跡 不可尋常便混群小中 蓋棺事方定]”라고 하였다. <錦繡萬花名>

개관사방정[蓋棺事方定] () 뚜껑을 덮는다는 것은 곧 죽음을 의미하는바, ()나라 유의(劉毅)의 말에 장부는 관 뚜껑이 덮인 다음에야 일생 사업의 시비가 정해진다.[丈夫蓋棺事方定]”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晉書 卷45 劉毅列傳>

개관사시정[蓋棺事始定] 관 뚜껑을 닫아야 비로소 일은 정()해진다는 뜻으로, 사람은 죽고 난 뒤에라야 올바르고 정당(正當)한 평가(評價)를 할 수 있다는 말이다. , 사람들에 대한 평가란 모든 일이 완전히 끝나기 전에는 아무도 모른다는 말이다. 지금은 개관사정(蓋棺事定)이라고 더 많이 쓴다. 두보(杜甫)가 사천성(四川省)의 기주(夔州)에 있을 때, 실의에 빠진 친구의 아들 소혜(蘇傒)를 격려하기 위해 쓴 시인 군불견간소혜(君不見簡蘇傒)그대 보지 못했나 길가에 방치된 못을, 그대 보지 못했나 꺾여 넘어져 있는 오동을. 백 년 되어 죽은 나무도 거문고로 쓰이고, 작은 물웅덩이에도 교룡이 숨어 있다네. 장부는 관이 덮여야 일이 정해지는 법, 그대 다행히도 아직 늙은이 아니거늘, 어찌 한탄하며 초췌하게 산중에 있나. 심산궁곡 사람 살 곳 못 되나니, 벼락 치고 귀신 나오고 광풍까지 분다네.[君不見道邊廢棄池, 君不見前者摧折桐. 百年死樹中琴瑟, 一斛舊水藏蛟龍. 丈夫蓋棺事始定, 君今幸未成老翁. 何恨憔悴在山中, 深山窮谷不可處, 霹靂魍魎兼狂風.]”라고 한 데서 보인다. 이 시를 읽은 소혜는 후에 그곳을 떠나 호남 땅에서 세객(說客)이 되었다고 한다.

개관사정[蓋棺事定] ()의 뚜껑을 덮고서야 일이 정해진다는 데서, 시체(屍體)를 관에 넣고 뚜껑을 덮은 뒤에야 비로소 그 사람이 살아 있었을 때의 가치를 알 수 있다는 말이다. 사람의 일이란 함부로 결론 내릴 수 없음. 또는 죽은 뒤에야 사람의 참다운 평가가 내려진다는 말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