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가아타회凱歌阿嚲廻, 개가여구皆可與口, 개간측석匃澗側石, 개갈로介葛盧, 개갑鎧甲

[] 구하다. 구걸하다.

[] 개규(介圭)를 이른다. 옛날에 사자(使者)를 보낼 적에 개규를 주어 신표로 삼게 하였다.

[] 방언(放言)사물(事物) 중에 짝이 없는 것을 특()이라 하고, 짐승 중에 짝이 없는 것을 개()라 한다.[物無耦曰特, 獸無耦曰介.]”고 하였다.

[] 주빈(主賓)의 보좌(補佐)이다. 다음[]이라는 뜻으로 빈()의 행례를 돕는 자를 이른다. 개사(介使). 즉 사신단의 부사(副使)를 의미한다.

[] 향중(鄕中)의 현인(賢人)을 말하는데, 가장 우수한 자를 빈()으로 하고, 그 다음을 개()로 하고, 그 다음을 중빈(衆賓)으로 한다.

[] [] 줄기를 상형(象形)한 글자로서, 대를 헤아리는 단위로도 쓰인다.

[] [] 그림을 그리는 데 있어 잎을 그릴 때 쓰는 법. 동양화에서 죽엽(竹葉)()’자 모양으로 그린다. , 대의 잎을 가리킨다.

[] 무성한 나무. 잎이 많아 우산처럼 늘어진 모습의 나무.

[] 거개(車蓋)를 이른다. 비나 볕을 가리기 위하여, 수레 위에 우산같이 만들어 세우는 휘장이다.

[] 범어 avarana의 역어이며, 번뇌로 인하여 선심을 일으키는 데 장애가 되는 것을 말한다. 탐욕(貪欲), 진에(瞋恚), 혼침수면(惛沉睡眠), 도거악작(掉擧惡作), ()라는 다섯 가지 종류가 있다.

[] 대략. 대개. 아마도. 보통 대개라고 번역하지만 문장을 시작하기 위해서 의미없이 집어넣은 발어사(發語辭)에 해당하므로 번역하지 않는 것이 무난하다. 또 추측을 나타내는 부사로 쓰이면서 아마도~일 것이다, 대체로 ~하기 마련이다.’와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 흔히 양념으로 쓰이는 야채의 일종인 겨자를 말하는데, 역시 야채의 일종인 을 가리키기도 한다.

[] 수량(數量) 수사(修辭)로 갯수, 명수 등을 나타낸다.

개가[凱歌] 전쟁에 이기고 부르는 노래를 말한다.

개가아타회[凱歌阿嚲廻] 고악부 가운데 아타회(阿嚲廻)가 있다. 아타회(阿嚲回)라고도 한다.

개가여구[皆可與口] 장자(莊子) 천운(天運)명자, , 유자가 맛은 반대지만 모두 입에 맞는다.[楂橘柚邪, 其味相反, 而皆可與口.]”라고 하였다.

개각종기명수[介各從其命數]()를 각각 자신의 명수(命數)대로 한다는 것은 공((((()이 각각 자기의 명수(命數)대로 보좌관(輔佐官)을 대동하는 것이니, 곧 구명(九命)의 경우 9, 칠명(七命)의 경우 7, 오명(五命)의 경우 5인을 대동한다는 말이다. ()는 제후(諸侯)가 직접 조빙(朝聘)이나 회맹(會盟)에 참여할 때 대동(帶同)하는 보좌관(輔佐官)을 이른다. 명수(命數)는 왕(:天子)이 내린 작위(爵位)의 등급이다. 주례(周禮) 춘관(春官) 전명(典命)에 의하면 상공(上公)은 구명(九命)으로 방백(方伯)이 되고, (()은 칠명(七命)이고, (()은 오명(五命)이다.”라고 하였다.

개간측석[匃澗側石] 진국공(晉國公) 배도(裴度)가 장경(長慶) 2(822) 정승 자리에서 파면되어 집에 거처할 당시 뜰에 바위로 가산(假山)을 만들고 11()의 시를 지었는데, 한유(韓愈)가 이에 대한 화답시를 지었다. 그 화답시에 배도가 가산을 만들게 된 과정을 말하면서 산속 사람에게 가서 여쭙기를, 냇가의 바위를 달라고 했네.[枉語山中人 匃我澗側石]”라고 하였다. <韓昌黎集 卷7 和裴僕射相公假山十一韻>

개갈로[介葛盧] 춘추 시대 개국(介國)의 임금을 이른다. 그가 노 희공(魯僖公) 29년에 노() 나라에 입조(入朝)했었는데, 그는 우어(牛語)에 통했었다고 한다. <左傳 僖公 二十九年>

개갑[鎧甲] 전투할 때 몸을 보호하기 위한 복장으로, 금속이나 가죽으로 만든 갑옷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