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剛柔, 강유姜維, 강유絳帷, 강유綱維, 강유江逌
❍ 강유[剛柔] 음양(陰陽), 주야(晝夜), 또는 군자와 소인 등의 뜻으로 쓰인다.
❍ 강유[剛柔] 강강(剛强)한 것과 유순한 것으로, 주역(周易)에서 음양(陰陽)을 서로 대응시킨 개념이다. 강유가 음양과 서로 대응될 때는 양(陽)은 강(剛), 음(陰)은 유(柔)가 된다. 주역(周易)에서 입천(立天)의 도(道)를 음과 양, 입지(立地)의 도를 강과 유, 입인(立人)의 도를 인(仁)과 의(義)로 대응시켜 설명한다. 그러므로 천지인(天地人) 세 가지[三才]를 바탕으로 해서 볼 때 천도(天道)는 음양, 지도(地道)는 강유, 인도(人道)는 인의(仁義)가 되는 바, 각각이 가진 본질적인 바탕을 일컫는 말이다.
❍ 강유[姜維] 강유(姜維)의 자는 백약(伯約)으로 천수(天水) 기(冀) 사람이다. 본래 위(魏)나라 장수였다가 촉한(蜀漢)으로 귀순하여 제갈량(諸葛亮)의 신임을 얻어 정서장군(征西將軍)에 올랐다. 제갈량이 죽은 뒤에 대장군(大將軍)이 되어 여러 차례 위나라를 정벌했는데, 위나라에서는 사마소(司馬昭)가 등애(鄧艾)와 종회(鍾會)를 보내 대적케 하므로 결국 큰 공을 세우지 못했다. 후주 염흥(炎興) 연간에 위나라 종회(鍾會)가 촉나라를 공격하여 후주가 항복하자 강유도 투항하였다. 나중에 종회가 위나라를 배반하는 일을 도모하자, 강유도 이에 가담하여 촉나라의 부흥을 꾀했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죽임을 당했다. <三國志 卷44 蜀書 姜維傳>
❍ 강유[姜維] 삼국시대 촉(蜀)의 무장. 천수기(天水冀; 甘肅) 사람. 자(字)는 백약(伯約)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했다. 건흥(建興) 6년 제갈량(諸葛亮)이 북벌군을 일으킬 때 투항하여 크게 신임을 받았다. 제갈량이 죽은 후 촉(蜀)의 군사상 책임자가 되고, 결국 대장군, 다시 녹상서사(錄尙書事)로서 민정에도 관여했다. 그러나 환관의 횡포에 맞섰기 때문에, 수도인 성도(成都)에 들어가지 못했다. 촉(蜀)이 멸망하자 위(魏)에 항복하여 종회(鍾會)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으나, 종회가 난을 일으켜 살해되었다.
❍ 강유[姜維] 강유(姜維)는 삼국 시대 촉한(蜀漢)의 대장군으로, 제갈량(諸葛亮)의 뒤를 이어 아홉 차례나 중원(中原)을 공략하였는데, 나중에 그가 위(魏)나라에 잡혀 죽을 적에 배를 갈라 보니 쓸개가 말[斗]만큼 컸다는 기록이 전한다. <三國志 卷44 蜀書 姜維傳 註> 위(魏)나라 등애(鄧艾)가 촉나라를 평정하고 성도(成都)에 들어가서 자기의 공을 매우 자랑하며 사대부들에게 “여러분이 나를 만난 덕분에 오늘이 있게 되었다. 만약 오한의 무리를 만났다면 벌써 죽었을 것이다.[諸君賴遭某 故得有今日耳 若遇吳漢之徒 已殄滅矣]”라고 하고, 또 “강유도 본래 이 시대의 웅아라고 할 수 있지만, 나를 만났기 때문에 궁해진 것이다.[姜維自一時雄兒也 與某相值 故窮耳]”라고 하자, 식자(識者)가 웃었다는 기록이 전한다. <三國志 卷28 魏書 鄧艾傳> 웅아(雄兒)는 영웅(英雄) 혹은 건아(健兒)와 같은 뜻의 말이다.
❍ 강유[絳帷] 붉은 휘장이라는 뜻으로, 강장(絳帳)이라고도 한다. 후한(後漢)의 명유(名儒) 마융(馬融)이 생도들을 가르칠 때 항상 고당(高堂)에 앉아 붉은 사장막을 내리고[絳紗帳] 생도들을 교수했는데, 뒤에 여악(女樂)들이 늘어서 있었다눈 고사에서 유래하여, 사문(師門)에서 강석(講席)의 경칭(敬稱)으로 쓰인다. <後漢書 卷60上 馬融列傳>
❍ 강유[綱維] 삼강(三綱)과 사유(四維). 삼강은 군신·부자·부부, 사유는 예(禮)·의(義)·염(廉)·치(耻)이다.
❍ 강유[綱維] 절 안을 통괄하고 불사(佛事)를 유지하는 역할을 맡은 자로, 사주(寺主), 상좌(上座), 도유나(都維那) 3인이 있어서 이를 삼강(三綱)이라고 한다.
❍ 강유[江逌] 진(晉)나라 진유(陳留) 사람으로 자는 도재(道載)이다. 벼슬은 태상(太常)에 이르고 저서에는 원적서찬(院籍序賛), 일사잠(逸士箴) 등이 있다. <晉書 卷83 江逌列傳>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