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엄江淹, 강엄별부江淹別賦, 강엄오색필江淹五色筆, 강엄재진江淹才盡, 강엄필江淹筆
❍ 강엄[江淹] 강엄(江淹)은 남조(南朝) 양(梁)나라 제양(齊陽) 고성(考城) 사람으로 자는 문통(文通)이다. 처음에는 송(宋)·제(齊)에서 벼슬했고, 양(梁) 나라 천감(天監) 중에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로서 제사십지(齊史十志)를 지었다. 강엄이 문장으로 이름이 높고 의고시(擬古詩)에 능하였으나 만년에는 재사(才思)가 미퇴(微退)하여 시문(詩文)에 가구(佳句)가 없으니 시인(時人)이 재진(才盡)이라 일렀다. 이에 관련한 고사가 전한다. 그가 일찍이 야정(冶亭)에서 잠을 자다가, 꿈을 꾸니 곽박(郭璞)이라고 자칭하는 노인이 와서 말하기를, “내 붓이 그대에게 가 있은 지 여러 해이니, 이제는 나에게 돌려다오.”라고 하므로, 자기 품속에서 오색필(五色筆)을 꺼내어 주었는데, 그 후로는 좋은 시문을 전혀 짓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 강엄[江淹] 중국 남조(南朝)의 문인. 남조(南朝) 양(梁) 고성인(考城人)으로 자는 문통(文通)이다. 남조 송(宋)에서 출생한 그는 어려서부터 문명을 얻었으며 송(宋)·남제(南齊)·양(梁)의 세 왕조를 섬기는 동안 양(梁)에서는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가 되어 예릉후(醴陵侯)에 책봉되었다. 문학을 즐기고 유(儒)·불(佛)·도(道)에 통달하였다. 대표작으로 잡체시(雜體詩) 30수와 한부(恨賦)·별부(別賦) 2편이 있는데 문사(文辭)가 화려하다. 원작과 구별하기 어려울 만큼 의고(擬古)를 잘하였다. 만년에는 문학활동이 양과 질에서 이전보다 크게 줄고 떨어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가 한번은 야정(冶亭)에서 잠을 자는데 곽박(郭璞)이라고 자칭하는 노인이 와서 말하기를 “내 붓이 그대에게 가 있은 지 여러 해이니, 이제는 나에게 돌려다오.”라고 하므로, 자기 품속에서 오색필(五色筆)을 꺼내어 그에게 돌려준 꿈을 꾸었는데, 그 후로는 문필이 예전만 못하여 당시 사람들이 강랑재진(江郞才盡)이라고 하였다. <南史 卷59 江淹列傳>
❍ 강엄별부[江淹別賦] 강엄(江淹)은 중국 남조(南朝) 시대의 대표적 문인으로, 그의 별부(別賦)는 수인(戍人), 부호(富豪), 협객(俠客), 유환(遊宦), 도사(道士) 등 다양한 인물군의 이별을 묘사하고 있다.
❍ 강엄오색필[江淹五色筆] 육조(六朝) 때 강엄은 문장을 잘하였는데 한번은 꿈에 곽박(郭璞)이라는 자가 “내 붓을 자네가 가지고 있은 지 여러 해였으니 이제 돌려다오.”라 하므로, 품에서 오색필을 내어 돌려주었다. 그 뒤로는 아무리 노력하여도 아름다운 시를 짓지 못하였다. <南史 卷五十九 江淹傳>
❍ 강엄재진[江淹才盡] 강엄(江淹)은 남조 시대의 송(宋)·남제(南齊)·양(梁)의 문인으로, 자는 문통(文通)이다. 젊은 날에는 문사(文思)가 뛰어났으나 어느 날 꿈에 곽박(郭璞)이 채필(綵筆)을 돌려달라고 하자, 돌려준 뒤로 문필이 예전만 못하여 사람들이 강엄재진(江淹才盡)이라고 하였다.
❍ 강엄필[江淹筆] 강엄(江淹)은 양나라 때의 문장가로, 그가 한번은 야정(冶亭)에서 잠을 자는데 곽박(郭璞)이라고 자칭하는 노인이 와서 말하기를 “내 붓이 그대에게 가 있은 지 여러 해이니, 이제는 나에게 돌려다오.”라고 하므로, 자기 품속에서 오색필(五色筆)을 꺼내어 그에게 돌려준 꿈을 꾸었는데, 그 후로는 좋은 시문을 전혀 짓지 못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전하여 강엄의 붓이란 곧 뛰어난 문재(文才)를 의미한다. <南史 卷59 江淹列傳>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