春日醉起言志춘일취기언지 / 봄날 취하여 뜻을 말하다 / 李白이백


處世若大夢[처세약대몽]  세상살이 커다란 꿈과 같거니

胡爲勞其生[호위노기생]  어찌 아등바등 애쓰며 살랴

所以終日醉[소이종일취]  그런 까닭에 종일 취하여

頹然臥前楹[퇴연와전영]  곤드라져 기둥 앞에 누웠다가

覺來眄庭前[교래면정전]  깨어나 흘끗 뜰 앞을 보니

一鳥花間鳴[일조화간명]  한 마리 새 꽃 사이 울고 있어라

借問此何時[차문차하시]  물어보자, 여기가 어느 시대냐

春風語流鶯[춘풍어류앵]  봄바람이 꾀꼬리와 속살거리네

感之欲嘆息[감지욕탄식]  이에 느꺼워 탄식 하려다

對酒還自傾[대주환자경]  술 다시 마주하여 손수 따르네

浩歌待明月[호가대명월]  호탕히 노래하며 달을 기다리니

曲盡已忘情[곡진이망정]  노래 끝나자 정도 이미 잊혀졌네

 

<春日醉起言志춘일취기언지 / 봄날 취기가 올라 읊다 / 李白이백>

 

이백[李白]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는 태백(太白)이고. ()는 취선옹(醉仙翁해상조오객(海上釣鰲客청련거사(靑蓮居士)이다. 태어날 때 어머니가 꿈에 태백성(太白星)을 보았다고 한다. 아버지는 서역(西域)의 호상이었다고 전한다. 출생지는 오늘날의 사천성(四川省)인 촉()의 창명현(彰明縣) 또는 더 서쪽의 서역으로서, 어린 시절을 촉나라에서 보냈다. 천보(天寶) 원년(元年: 742) 가을에 처음 장안(長安)에 나와 하지장(賀知章)을 만나 적선인(謫仙人)으로 찬양되면서, 그 명성이 온 세상에 퍼졌다. 그 뒤 현종(玄宗)을 알현하여 시문의 재능을 인정받아 한림공봉(翰林供奉)으로 임명되고 궁정 시인이 되기도 했으나, 현종의 실정 이후 정치에 뜻을 잃고 방랑시인이 되었다. 성품이 호방하여 세속에 매이지 않아 천하를 유람하며 시주(詩酒)로 생활하였다. 시풍이 웅기하고 호방하며 상상력이 풍부하고 언어의 흐름이 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음률의 조화와 변화가 다양하다. 그의 시는 서정성(抒情性)이 뛰어나 논리성(論理性), 체계성(體系性)보다는 감각(感覺), 직관(直觀)에서 독보적(獨步的)이다. , 달을 소재(素材)로 많이 썼으며, 낭만적(浪漫的)이고 귀족적(貴族的)인 시풍을 지녔다. 천하를 주유하며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그의 생활 태도를 반영한 대표작으로는 촉도난(蜀道難)이 있다.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며 한시(漢詩)의 양대 산맥으로 일컬어져 이백(李白)은 시선(詩仙), 두보(杜甫)는 시성(詩聖)으로 불린다. 성당(盛唐) 시기 시가(詩歌) 예술의 최고봉에 올랐다. 지금까지 전하는 시가 1천여 편에 달하고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 30권이 있다.

언지[言志] 자기의 뜻을 읊음. 자기(自己)의 뜻을 말한다는 뜻으로, 곧 시()를 일컫는 말이다. 서경(書經) 우서(虞書) 순전(舜典)시는 마음속에 있는 뜻을 말하는 것이요, 노래는 말을 길게 뽑아 읊조리는 것이요, 성은 길게 읊는 것에 의지하는 것이요, 율은 읊는 소리를 조화롭게 하는 것이다.[詩言志, 歌永言, 聲依永, 律和聲.]”라고 하였다.

처세[處世] 사람들과 어울려 세상에서 살아가는 일. 세상사는 일. 이 세상(世上)에서 살아감.

대몽[大夢] 큰 꿈으로, 인간의 한 생애를 한바탕 큰 꿈에 비유한 말이다.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대저 죽은 이가 죽기 전에 살기를 바랐던 것을 죽은 뒤에 후회하지 않는다는 것을 내가 어찌 알겠는가. 꿈에 술을 마시며 즐기던 사람이 아침에는 곡을 하며 울고, 꿈에 곡을 하고 울던 사람이 아침에는 사냥을 나가 즐긴다. 한창 꿈을 꾸고 있을 때에는 그것이 꿈인 줄을 알지 못하고 꿈속에서 그 꿈을 점치기도 하다가 깬 뒤에야 그것이 꿈인 줄을 안다. 또한 크게 깨달음이 있는 뒤에야 이것이 큰 꿈인 줄을 아는 것이다.[予惡乎知夫死者不悔其始之蘄生乎 夢飮酒者 旦而哭泣 夢哭泣者 旦而田獵 方其夢也 不知其夢也 夢之中又占其夢焉 覺而後知其夢也 且有大覺而後知此其大夢也]”라고 한 데서 보인다.

호위[胡爲] 하위(何爲). 무슨 이유로. . 어찌. 어째서. 무엇 때문에. 함부로 행동하다. 분별없는 짓을 하다. 멋대로 굴다. 시경(詩經) 패풍(邶風) 식미(式微)군주 때문이 아니라면 어이하여 이슬 가운데 있으리오.[微君之故 胡爲乎中露], 군주의 몸 때문이 아니라면 어이하여 진흙 속에 있으리오.[微君之躬 胡爲乎泥中]”라고 하였고, 소식(蘇軾)의 시 정주별후마상기자유(鄭州別後馬上寄子由)술도 안 마셨는데 어째서 어지러운가 했더니, 내 마음이 돌아가는 너를 따라가는 모양이다.[不飮胡爲醉兀兀 此心已逐歸鞍發]”라고 하였다.

소이[所以] 까닭. 일이 생기게 된 원인이나 조건. 어떤 일을 하게 된 이유. 그래서. 그러므로. 그런 까닭에. 때문에. ~한 이유는. 가이(可以: ~할 수 있다. 가능하다.) 인과 관계의 문장에서 원인과 결과나 결론을 나타낸다.

퇴연[頹然] 쓰러져 무너지는 모양. 무너지는 모양. 낙담한 모양. 실망한 모양. 풀 죽은 모양. 실망해서 눕다. 술에 취하여 비틀거리는 모양. 만취해서 곤드라지는 모양. 늙어서 쇠약해진 모양. 정적하다. 고요하다. 구속을 받지 아니하다.

차문[借問] 청문(請問). 묻다. 모르는 것을 남에게 물음. 상대자(相對者)가 없이 허청대고 가정(假定)하여 물음. 고시 중에 흔히 보이는 의문어로, 앞에서 묻고 뒤에서 스스로 답을 하는 식으로 시문에 흔히 쓰이는 표현이다. 이백(李白)의 시 춘일취기언지(春日醉起言志)지금이 어느 때인가 물었더니, 봄바람과 꾀꼬리 속살대고 있네.[借問此何時 春風語流鶯]”에서 보듯 앞 구절에서 묻고 나중 구절에서 스스로 답을 한다. 참고로, 두목(杜牧)의 시 청명(淸明)술집이 어디 있는가 물어보니, 목동은 멀리 살구꽃 핀 마을을 가리키네.[借問酒家何處有 牧童遙指杏花村]”라고 한 구절이 있고, 도잠(陶潛)의 시 비종제중덕(悲從弟仲德)에서 누구 때문에 우는지 스스로 물어보니, 가슴에 품은 이 저승에 있네.[借問爲誰悲 懷人在九冥]”라고 한 구절이 있다.

어류[語流] 술술 나오는 말. 거침없이 나오는 말.

유앵[流鶯] 나무에서 나무로 미끄러지듯 옮겨 날아다니며 우는 꾀꼬리. 거침없이 지저귀는 꾀꼬리. 길거리에서 호객 행위를 하는 창녀.

자경[自傾] 스스로 기울이다. 술이 다해 절로 기우는 것.

호가[浩歌] 소리 높여 노래하는 것. 큰 소리로 노래를 부름. 또는, 그 노래. 목청껏 노래 부르는 것을 가리킨다. 두보(杜甫)의 시 옥화궁(玉華宮)시름이 생겨 풀 깔고 앉아, 큰소리로 노래하니 눈물이 한 줌이네.[憂來藉草坐 浩歌淚盈把]”라고 하였다.

망정[忘情] 정을 잊다. 정을 버리다. 맘속에 아무런 느낌이 없다. 희로애락(喜怒哀樂)의 일에 대하여 감정이 흔들리지 않고 담담하게 잊어버린다는 것이다. 감정을 절제하지 못하다. 감정을 억제할 수 없다. 감정이 북받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