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비강제糠粃康濟, 강비수선江妃水仙, 강비재전糠秕在前, 강비주요순糠粃鑄堯舜, 강비주우당糠粃鑄虞唐

강비강제[糠粃康濟] 지닌 능력 가운데 극히 일부의 재주만으로도 세상을 구제할 수 있었다는 뜻이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고야산(姑射山)의 신인(神人)은 그의 찌꺼기[粃糠]를 가지고도 요순(堯舜)을 만들어[陶鑄] 낼 수 있다.”고 하였다.

강비수선[江妃水仙] 물을 다스리는 여신(女神)과 남신(男神)을 가리킨다.

강비재전[糠秕在前] 강비는 겨와 쭉정이로, 보잘 것 없는 것을 말한다. ()나라 때 자()가 문도(文度)인 왕탄지(王坦之)와 자가 영기(榮期)인 범계(范啓)가 서로 친하게 지내다가 간문제(簡文帝)에 의해서 등용되었는데, 왕탄지는 나이는 더 어리면서 관직은 위였고 범계는 나이는 위이면서 관직은 아래였다. 이들 두 사람이 나아갈 때 서로 먼저 앞서 가라고 양보하다가 끝내는 범계가 앞장서고 왕탄지가 뒤를 따랐다. 그러자 왕탄지가 범계를 보고 장난삼아 말하기를 곡식을 까불며 바람에 날리면 겨와 쭉정이가 앞에 있게 마련이다.[簸之揚之, 糠秕在前.]” 하자, 범계가 왕탄지를 보고 말하기를 조리질하며 물에 흔들면 모래와 자갈이 뒤에 있게 마련이다.[洮之汰之, 沙礫在後.]”라고 하였다. <世說新語 排調>

강비재전[糠粃在前재주와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앞 자리를 차지한 것을 비유한 것이다. () 나라 때 손작(孫綽)이 평소에 남 조롱하기를 좋아했는데, 한번은 습착치(習鑿齒)와 함께 길을 가다가, 손작이 앞에 가면서 습착치를 돌아보고 말하기를 곡식을 일어서 모래를 가리자면 자갈이 뒤에 처지게 된다.[沙之汰之, 瓦石在後.]”고 조롱하자, 습착치가 바로 이어 응수하기를 곡식을 키질하여 까부르면 겨와 쭉정이가 앞으로 나가게 된다.[簸之颺之, 糠粃在前.]”고 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晉書 卷56 孫綽列傳>

강비주요순[糠粃鑄堯舜]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신인(神人)은 덕이 높아 그 몸의 먼지나 쭉정이만 가지고도 세상에서 성인(聖人)이라는 요순(堯舜)을 만들어 낼 수 있다.”라고 하였다.

강비주우당[糠粃鑄虞唐] 강비는 쭉정이와 겨를 말하는데 옛날 막고야산(藐姑射山)의 신인(神人)은 도가 워낙 높아서 쭉정이와 겨를 가지고도 요순(堯舜)같은 이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莊子 逍遙遊>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