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간江幹, 강간强幹, 강간降諫, 강감降鑑, 강감찬姜邯贊, 강강彊彊, 강강康强

강간[江幹] 강가를 이른다. 강변(江邊). 강안(江岸). 물가. 왕발(王勃)의 시 기유전별(羈游錢別)에서 나그네 마음은 고갯길에 걸려 있고, 길 떠난 이는 물가에 걸터앉아 있네.[客心懸隴路 游子倦江幹]”라고 하였다. 강간(江干).

강간[江間] 강 사이. 강 위. 강 한 복판. 두보(杜甫)의 시 추흥팔수(秋興八首) 기일(其一)강 사이 물결 하늘 높이 일고, 변방의 풍운 땅에 깔려 음산하네.[江間波浪兼天湧, 塞上風雲接地陰.]”라고 하였다. <杜少陵詩集 卷17 秋興八首>

강간[强幹] 능력과 재간이 있음[强力能幹]을 이른다. 북제서(北齊書) 당옹전(唐邕傳)당옹(唐邕)은 힘이 있고 유능해서, 혼자서 천 명을 감당하였다.[唐邕强幹, 一人當千.]”라고 하였다.

강간[降諫] 오간(五諫)의 하나로 온화한 얼굴과 좋은 안색에 평온한 마음과 조용한 말로 간()하는 것이다. 간언을 올리는 방법에 따라 보통 다섯 가지로 구분하는데, 각 서책마다 조금씩 다르다. 유향(劉向)의 설원(說苑) 정간(正諫)에서는 정간(正諫), 강간(降諫), 충간(忠諫), 당간(戇諫), 풍간(諷諫)이라 하였고, 반고(班固)의 백호통(白虎通) 간쟁(諫諍)에서는 풍간(諷諫), 순간(順諫), 규간(窺諫), 지간(指諫), 함간(陷諫)이라 하였고, 공자가어(孔子家語) 변정(辨政)에서는 휼간(譎諫), 당간(戇諫), 강간(降諫), 직간(直諫), 풍간(諷諫)을 오간이라 하였다.

강감[綱鑑] 주희(朱熹)의 통감강목(通鑑綱目) 체재를 따라 편찬한 통사(通史)를 말한다.

강감[降鑑] 신령(神靈)이 하늘에서 인간계(人間界)를 내려다봄이다.

강감찬[姜邯贊] 고려사(高麗史) 94 열전(列傳) 7 강감찬(姜邯贊)강감찬은 성품이 맑고 검소하며 집안 살림을 돌보지 않았다. 생김새가 왜소하고 옷차림이 누추하여 보통 사람보다 낫지 않았으나, 반듯한 얼굴빛으로 조정에 서서 큰일을 만나 큰 계책을 정할 때에는 나라의 주춧돌같이 우뚝하였다.[姜邯贊性淸儉不營産業, 體貌矮陋, 衣裳垢弊, 不踰中人, 正色立朝, 臨大事決大策, 屹然爲邦家柱石.]”라고 하였다.

강강[彊彊] 암수가 서로 따르는 모양. 시경(詩經) 용풍(鄘風) 순분(鶉奔)메추리는 서로 짝을 지어 다정하게 날고 까지도 서로 짝을 지어 다정하게 깡충깡충 걸어가네.[鶉之奔奔 鵲之彊彊]”라고 하였는데, ()나라 사람들이 선강(宣姜)의 음란함을 풍자하면서 메추리나 까치만도 못하다고 한 것이다. 다투고 미워하는 모양.

강강[剛强] 굳세고 강한 것.

강강[康强] 튼튼함. 건강함이다. 강강(康彊).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