旅夜書懷여야서회 / 객지 밤의 회포를 적다 / 杜甫두보

細草微風岸[세초미풍안]  여린 풀 위로 솔솔바람 부는 기슭

危檣獨夜舟[위장독야주]  높은 돛 배 안에 홀로 잠 못 이루네

星垂平野闊[성수평야활]  넓게 트인 들판엔 별빛이 드리우고

月湧大江流[월용대강류]  달빛에 일렁일렁 양자강은 흐르네

名豈文章著[명기문장저]  어찌 문장으로 이름을 드러내리

官應老病休[관응노병휴]  늙고 병들면 물러나야 하는 것을

飄飄何所似[표표하소사]  이리 저리 바람에 정처 없이 날리니

天地一沙鷗[천지일사구]  천지간을 떠도는 난 한 마리 갈매기

 

<旅夜書懷여야서회 / 객지 밤의 회포를 적다 / 杜甫두보>

 

두보[杜甫] 성당기(盛唐期)의 시인으로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야로(少陵野老), 두릉야로(杜陵野老), 두릉포의(杜陵布衣) 등이 있다. 양양(襄陽) 지방 출신으로 과거에 응시했으나 실패하고 40대인 천보(天寶) 14(755)에야 비로소 벼슬길에 오르게 된다. 안녹산(安祿山)의 난 당시 장안에서 반군에게 잡혔다가 탈출, 숙종(肅宗)의 진영에 합류하여 좌습유(左拾遺)와 검교공부원외랑(檢校工部員外郞)을 지낸 적이 있어서 사람들이 그를 두습유(杜拾遺), 두공부(杜工部) 등으로 불렀고, 또 장안성 밖 소릉(少陵)의 초당(草堂)에서 지낸 적이 있기 때문에 두소릉(杜少陵), 두초당(杜草堂)으로 부르기도 했다. 그는 시선(詩仙) 이백(李白)과 함께 이두(李杜)로 불렸는데, 두목(杜牧)과 이상은(李商隱)의 합칭인 소이두(小李杜)와 구별하기 위해 대이두(大李杜)라고도 부른다. 문학을 발판 삼아 벼슬로 나아가려던 그의 꿈이 큰 성취를 이루지 못함으로써 짧은 한때를 빼고는 평생을 가난과 병으로 고생을 겪어야 했다. 중국의 서북 지역을 유랑하다가 결국 병사했다. 벼슬살이와 달리 문학, 특히 시에서 이룬 성취가 대단하였다. 남긴 시가 1500여 수에 달하며 작품집으로 두공부집(杜工部集)이 있다. 후세 사람들에게 그 자신은 시성(詩聖)으로, 또 그의 시는 시사(詩史)라는 영예로운 칭호를 얻었다.

위장[危檣] 높이 솟은 돛대.

독야[獨夜] 홀로 지내는 밤.

사구[沙鷗] 문학 작품에서 해안가 모래톱에 사는 갈매기 따위의 물새를 가리켜 일컫는 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