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척干戚, 간척모적干戚旄狄, 간척무干戚舞, 간척무약무干戚舞籥舞

간척[干戚] ()은 방패(防牌)이고 척()은 용()머리에 도끼모양으로 만든 무구(舞具)이다. 옛날에 이것을 손에 쥐고 무무(武舞)를 추었다. () 임금이 불공(不恭)한 묘족(苗族)을 정벌하려고 하다가 익()의 간언(諫言)을 듣고는 정벌을 그만두고 문덕(文德)을 펴면서 방패와 새깃[干羽]을 손에 쥐고 양계(兩階)에서 춤을 추었더니, 칠순(七旬) 만에 묘족이 감복(感服)했다고 한다. <書經 大禹謨>

간척모적[干戚旄狄] ()은 방패, ()은 큰 도끼[大斧], 무무(武舞)를 출 때 손에 잡고 추는 무구(舞具)이다. ()는 모우(牦牛)의 꼬리이고, ()은 적()과 통용으로 꿩의 긴 깃인데, 문무(文舞)를 출 때 잡고 추는 무구이다. <禮記 樂記>

간척무[干戚舞] 간척무는 왼손에는 방패[]를 오른손에는 도끼[]를 들고 추는 무무(武舞)인데, () 임금 때 묘족(苗族)이 명을 거스르자 우 임금이 이 춤을 추니 묘족이 70일 만에 감동하여 복종했다고 한다. 그 뒤 후한(後漢) 때 최식(崔寔)성인(聖人)은 세상의 변화와 함께 잘 추이(推移)하여 나아가지만 속된 선비는 변통할 줄을 몰라서 간척(干戚)으로 평성(平城)의 포위를 충분히 풀 수 있다고 여긴다.[干戚之舞 欲以解平城之圍]”라고 한 말에서 유래하여, 간척무는 변화해 가며 변화에 대응하지 않는 고식적인 문치책(文治策)을 가리키는 뜻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평성은 한()나라 고조(高祖)가 흉노(匈奴)에게 포위를 당하여 곤욕을 치른 곳이다.<禮記 樂記><後漢書 卷52 崔駰列傳>

간척무악[干戚舞樂] 방패와 도끼를 들고 추는 춤을 말하는데, 인덕(仁德)으로 교화하여 심복시킬 때의 비유로 쓰인다. () 임금의 신하인 우()가 남방의 복종하지 않는 유묘씨(有苗氏)를 정벌하려고 하자, 순 임금이 무력 대신에 교화를 펼쳐야 한다면서 간척의 춤을 추니, 3년 만에 유묘씨가 귀의했다는 이야기가 한비자(韓非子) 오두(五蠹)에 나온다.

간척무약무[干戚舞籥舞] 아악의 무무(武舞문무(文舞), 대원들이 각각 지니고 있는 도구를 말한다. 무무 대원들은 방패와 긴 창[干戚]을 지니고, 문무 대원들은 피리와 꿩깃[籥翟]을 지니고 춤을 춘다. <高麗史 70 樂 雅樂>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