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확자看穫者, 간후이건乾餱以愆, 간휴이間携貳, 간휼奸譎, 간흉위선량姦凶爲善良

간확자[看穫者] 수확을 감독하는 자. 땅 주인을 가리킨다.

간횡사[看橫斜] 비낀 그림자를 봄. ()나라의 처사(處士) 임포(林逋)의 시 산원소매(山園小梅)성긴 가지는 맑고 얕은 물 위에 비껴 있고, 은은한 향기는 황혼의 달빛 아래 부동하네.[疎影橫斜水淸淺 暗香浮動月黃昏]”라고 하였다.

간후이건[乾餱以愆] 간후(乾餱)의 허물. 간후는 말린 밥을 말하며, 하찮은 먹을 것 때문에 생긴 허물을 이른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벌목(伐木)산비탈에서 나무를 베거늘, 거른 술이 많기도 하여라. 변두가 질서 정연히 놓였으니, 형제들이 먼 사람까지 다 있도다. 사람들이 덕을 잃는 것은, 말린 밥 때문에 허물이 생기나니, 술이 있으면 내가 거를 것이요, 술이 없으면 내가 받아 올 것이요, 북을 둥둥 내 울리며, 덩실덩실 내 춤을 추어, 내 한가한 때를 만나서, 이 거른 술을 마시리라.[伐木于阪 釃酒有衍 籩豆有踐 兄弟無遠 民之失德 乾餱以愆 有酒湑我 無酒酤我 坎坎鼓我 蹲蹲舞我 迨我暇矣 飮此湑矣]”라고 한 데서 온 말인데, 말린 밥이란 하찮은 음식을 말한 것으로, 친구 사이에 하찮은 음식이나마 서로 나누어 먹지 않아 허물을 짓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간휴이[間携貳] 갈리어 서로 의심하는 나라는 그 틈을 이용해 이간한다는 말이다.

간휼[奸譎간악하고 음흉함. 간사하고 음흉함논어(論語) 헌문(憲問)진 문공은 간휼하고 부정하며 제 환공은 올바르고 간휼하지 않다.[晉文公譎而不正 齊桓公正而不譎]”라고 하였다.

간흉위선량[姦凶爲善良] 근사록(近思錄) 10 정사(政事)옛날의 성왕(聖王)이 간흉을 교화시켜 선량한 사람이 되게 하고, 원수와 적을 바꾸어 신민이 될 수 있게 하였던 것은 그들을 끊지 않았기 때문이다.[古之聖王 所以能化姦凶爲善良 革仇敵爲臣民者 由弗絶也]”라는 정이천(程伊川)의 말이 나온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