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가可呵, 가가대소呵呵大笑, 가각笳角, 가각苛刻, 가각고架閣庫
❍ 가[舸] (큰) 배.
❍ 가[家] 일반적인 집의 통칭이다. 주로 가족이라는 개념이 강하게 들어있다. 가족(家族), 가신(家臣). 경대부(卿·大夫). 남편. 집을 짓다.
❍ 가[駕] 거마(車馬).
❍ 가[訶] 꾸짖다. 책망하다.
❍ 가[稼] 농사(農事). (곡식을) 심다.
❍ 가[柯] 나뭇가지. 도낏자루.
❍ 가[假] 빌리다(借). 힘을 빌리다. 도움을 빌다.
❍ 가[架] 서까래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위에 건너지르는 나무를 가리키는데, 이로써 집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다.
❍ 가[豭] 수퇘지이다.
❍ 가[斝] 옥술잔이다.
❍ 가[苛] 침략하여 소란을 일으키는 것이다.
❍ 가[笳] 호가(胡笳). 고대 북방민족의 관악기. 호드기, 갈대로 만든 피리.
❍ 가[假] 휴가. 옛날에는 고관들이 청명일(淸明日)에 휴가를 얻어 교외를 산책하며 꽃과 새소리를 즐기는 답청(踏靑)놀이를 했다.
❍ 가가[可呵] ‘스스로 생각해도 우습다’는 뜻으로, 흔히 편지(便紙)에 쓰이는 말이다.
❍ 가가[可可] 별로 마음에 두지 않는 모양이다.
❍ 가가[架架] 새가 우는 소리이다.
❍ 가가[佳佳] 썩 좋음. 훌륭함.
❍ 가가[家家] 집집마다, 천자나 태자가 적모를 지칭하는 말이다.
❍ 가가[哥哥] 형을 부르는 경어, 남을 부르는 경어, 아들에 대한 아버지의 자칭이다.
❍ 가가[呵呵] 껄껄 웃는 모양이다.
❍ 가가대소[呵呵大笑] 껄껄거리며(呵呵) 큰(大) 소리로 웃다. 너무나 우스워서 껄껄 웃음. 큰 소리로 웃음.
❍ 가가문전[家家門前] 집집마다의 문 앞.
❍ 가가호호[家家戶戶] 각 집과 각 호(戶). 모든 집. 집집마다.
❍ 가각[笳角] 고대의 군대에서 쓰던 악기로, 가(笳)와 각(角)을 합쳐서 이르는 말이다.
❍ 가각[苛刻] 조건·요구 등이 너무 지나치다. 가혹하다. 모질다. 매우 모질며 박정(薄情)함. 가혹(苛酷)하고 각박(刻薄)함.
❍ 가각고[架閣庫] 연려실기술 별집(練藜室記述別集) 권6 관직전고(官職典故)에 의하면, 가각고는 조선 태조 때 의정부 안에 설치하여 수교(受敎)와 대신들의 수의(收議), 군(軍)·국(國)의 긴요한 문서들을 모두 간직해 두고 상고할 수 있게 한 기구이다. 그리고 승정원일기의 효종·영조 때 기사에 가각고에 관한 내용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보아 뒤에까지 계속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