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당물전甘棠勿剪, 감당서묘甘棠黍苗, 감당시甘棠詩, 감당시우로甘棠施雨露, 감당유애甘棠遺愛

감당구[甘棠句] 감당은 팥배나무로 시경(詩經) 소남(召南)의 편명인데, ()나라 소공(召公)의 선정을 기린 노래이다. 흔히 지방관의 선정을 말할 때 인용한다.

감당물전[甘棠勿剪] 소공(召公)의 덕에 감화된 백성들이 소공을 사모하여, 일찍이 소공이 쉬어갔던 감당 나무를 백성들이 대단히 존중하여 서로 나무를 다치게 하지 말도록 경계한 데서 온 말이다. <詩經 召南 甘棠>

감당서묘[甘棠黍苗] 모두 시경(詩經)의 편명(篇名)으로, 감당은 소남(召南)에 나오고 서묘는 소아(小雅)에 나오는데, 백성에게 선정(善政)을 베푼 소백(召伯)을 기리며 그리워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감당송[甘棠頌] 백성들이 지방관(地方官)의 덕을 앙모하는 것을 이른다. () 나라 소공(召公)의 선정(善政)에 감격한 백성들이 앞서 소공이 쉬어 갔던 감당나무를 소중히 여겨 서로 손상시키지 말자고 노래한 데서 온 말이다. <詩經 召南 甘棠>

감당시[甘棠詩] 소공(召公)을 칭송한 시경(詩經) 감당(甘棠)을 말한다. 지방관의 선정에 대한 칭송을 비유한다. 시경(詩經) 소남(召南) 감당(甘棠)무성한 감당나무를, 자르지도 말고 베지도 말라, 소백이 초막으로 삼으셨던 곳이다.[蔽芾甘棠 勿翦勿伐 召伯所茇]”라고 하였는데, 감당나무는 일명 팥배나무로 훌륭한 지방관리의 은덕을 비유하며, 소백(召伯)은 주() 나라 초기의 명신인 소공 석(召公奭)을 이른다. 소백이 남쪽 지방을 순행하며 정사를 베풀 적에 이 감당나무를 초막으로 삼아 그 아래에서 쉬어 갔기 때문에, 백성들이 그의 선정(善政)을 사모하여 그가 쉬어 간 나무도 차마 손상하지 못함을 읊은 것이라 한다. 후세에 지방관의 선정(善政)을 칭송하는 고사로 곧잘 인용되었다.

감당시우로[甘棠施雨露] 감당 아래선 은혜를 베풂. 지방에 가서 선정(善政)을 할 것이라는 뜻이다. 감당(甘棠)은 곧 감당지애(甘棠之愛)와 같은 말로, () 나라 소공(召公)이 남국(南國)을 순행하면서 선정을 하여 그에 감격한 백성들이, 그가 일찍이 쉬어갔던 감당나무를 소중히 여겼다는 데서 온 말이다. 시경(詩經) 국풍 소남에 무성한 감당나무를 치거나 베지 말라.”라고 하였다.

감당애[甘棠愛] 감당나무를 사랑한다. 정치를 잘하는 자를 사모하는 정을 나타냄을 이른다.

감당유애[甘棠遺愛] 청렴결백(淸廉潔白)한 인물이나 선정을 베푼 은인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이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