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서백란佳婿伯鸞, 가서저만금家書抵萬金, 가서한哥舒翰, 가석可惜, 가석이참嘉石以慙

가서백란[佳婿伯鸞] 후한서(後漢書) 83 양홍열전(梁鴻列傳)양홍은 자가 백란(伯鸞)이다. 권세가에서 양홍의 고절(高節)을 사모하여 그에게 딸을 시집보내고자 하는 자가 많았으나 양홍은 모두 물리치고 받아들이지 않았다. 같은 고을 맹씨(孟氏) 집에 딸이 있었는데, 양홍이 그 여자를 아내로 맞아들여 함께 패릉산(霸陵山)에 들어가 몸소 농사를 짓고 베를 짜고 시서(詩書)를 읊고 금()을 타면서 살았다.”라고 하였다. 이 내용은 고금사문유취(古今事文類聚), 연감유함(淵鑑類函), 패문운부(佩文韻府) 등에 실려 전하며, 조선 허균(許筠)의 한정록(閑情錄) 은둔(隱遁)에도 실려 있다.

가서수동관[哥舒守潼關] 가서한(哥舒翰)은 당()나라에 귀화한 돌궐(突厥) 출신의 무장(武將)으로 토번(吐蕃)을 토벌하여 서평군왕(西平郡王)으로 봉해지는 등 현종(玄宗)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천보(天寶) 14년에 안록산(安祿山)이 반란을 일으키자, 하서절도사(河西節度使)로 있던 가서한은 황태자전봉병마원수(皇太子前鋒兵馬元帥)에 임명되어 20만의 병력으로 동관(潼關)을 지키고 있었는데, 안록산의 기세가 대단하자, 동관을 굳게 지키며 적이 약해지기를 기다려 출격하려 하였다. 그러나 현종이 기어이 싸우도록 명령을 내리자 어쩔 수 없이 회전(會戰)하였다가 패하여 동관이 함락되었고 현종은 할 수 없이 촉()으로 파천하였다. <舊唐書 10 肅宗本紀>

가서저만금[家書抵萬金] 가서(家書)는 아내 혹은 가족으로부터의 편지를 이른다. 여행중 가인(家人)으로 부터 서신(書信)을 받으면 그 기쁨이 만금을 얻은 데 비할 만하다는 말이다.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가 안녹산(安祿山)의 난으로 붙잡혔다가 이듬해에 탈주했는데, 수도 장안(長安)에 구속된 몸이 되었을 때 전란으로 심하게 황폐해진 장안의 봄을 슬퍼하며 지은 춘망시(春望詩)봉화는 석 달 동안 계속 오르고, 집에서 온 편지는 만금 값이네.[烽火連三月 家書抵萬金]”라고 하였다.

가서한[哥舒翰] () 현종(玄宗) 때의 장군이다. 돌궐족(突厥族) 가서부(哥舒府)의 후예인데, 대대로 서안(西安)에 거주하였다. 어려서 춘추(春秋)를 읽어 대의(大義)를 알았으며, 출전(出戰)할 때마다 창 하나를 들고 모두 이겼다. 하서(河西농우(隴右) 등의 절도사에 제수되었고, 토번(吐蕃)을 격파한 공훈으로 서평군왕(西平郡王)에 봉해졌으며, 병으로 인해 경사에 머물다가 안녹산의 난이 일어났을 때 출전하였으나 패하여 죽었다.

가서한[哥舒翰] 당조(唐朝)의 명장으로 돌기시(突騎施) 가서부족(哥舒部族) 출신이다. 나이 마흔 무렵에 하서절도사 왕충사(王忠嗣)의 막부 무장으로 들어가 토번의 침입을 격파했다. 천보(天寶) 6년에 농우절도부사(右節度副使)가 된 뒤에 잇따라 공을 세우며 천보 12(753)에 양국공(凉國公)이 되고 하서절도사에 이어 서평군왕(西平郡王)으로도 봉해졌다. 술 마시기를 좋아하고 성색(聲色)을 밝히다가 풍질에 걸려 장안으로 돌아왔는데, 안록산(安祿山)의 난이 일어나자 황태자의 선봉병마원수(先鋒兵馬元帥)로 군사 20만을 이끌고 동관(潼關)을 지키며 반년 동안 분전했다. 나중에 양국충(楊國忠)의 참언으로 전투를 종용받아 결전을 벌이다가 대패하여 포로로 잡힌 뒤 낙양(洛陽)에 갇혀 있던 중에 살해되었다. 그의 위세가 한창일 때 서쪽 변방 사람들이 북두칠성 높이 걸린 깊은 밤에도, 가서한이 칼 차고 성을 지키며, 쳐들어오는 토번놈들 모두 죽이고, 성 밖에 해자도 겹으로 팠네.[北斗七星高, 哥舒夜帶刀. 吐蕃總殺盡, 更筑兩重濠.]”라고 노래하였다.

가석[可惜] 몹시 아까움. 섭섭하다. 아쉽다. 애석해 하다. 아깝다. 유감스럽다. 두보(杜甫)의 막상의행(莫相疑行)사내로 태어나 이룬 것 없이 머리만 세고, 이빨까지 흔들거리니 참으로 애석하다.[男兒生無所成頭皓白, 牙齒欲落眞可惜.]”라고 하였다.

가석[嘉石] 가벼운 범죄를 저지른 사람을 앉혀 부끄러움을 주어 회개시키는 데 쓰이는 무늬가 있는 돌을 말한다. 예컨대 부랑민[罷民] 따위를 개전하게 하는 데 쓰이는 무늬가 있는 돌로, 이 돌 위에 앉혀 그 훌륭한 무늬를 보여 개전하게 하였다. <周禮 秋官 大司寇>

가석이참[嘉石以慙] 가석(嘉石)은 본시 무늬가 있는 아름다운 돌을 지칭한다. 고대(古代)에 죄인을 징계할 때에 조문(朝門) 밖에 가석(嘉石)을 놓고 죄인을 그 돌 위에 앉혀놓아 중인(衆人)에게 보여서 과오를 반성하게 하기도 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