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숙당상家塾黨庠, 가숙당서家塾黨序, 가슬석자歌瑟析子, 가슬추연加膝墜淵

가숙[家塾] 옛날의 학사. 동네의 작은 글방. 개인이나 집안끼리 경영하는 글방. 예기(禮記) 학기(學記)옛날에 교육기관으로 가()에는 숙()을 두고, ()에는 상()을 두고, ()에는 서()를 두고, ()에는 학()을 두었다.[古之敎者, 家有塾, 黨有庠, 術有序, 國有學.]”라고 하였다. 주례(周禮)에 의하면, 25()를 여()라고 하며 여에는 숙()이 있어서 백성을 교육한다고 하였다. 여기서 가()25가를 가리킨다.

가숙당상[家塾黨庠] 가숙(家塾)과 당상(黨庠)은 중국 고대의 지방 학교 제도이다. 예기(禮記) 학기(學記)옛날의 교육은 가()에는 숙()이 있고 당()에는 상()이 있었다.[古之敎者, 家有塾, 黨有庠.]”라고 하였다. 주석에 의하면, 25() 규모의 마을마다 숙()을 두어 마을 사람을 가르쳤고, 500가를 당()으로 삼아 상()을 두어서 가숙에서 올라온 사람들을 가르쳤다고 한다.

가숙당서[家塾黨序] 모두 교육 기관의 명칭이다. 예기(禮記) 학기(學記)옛날에 교육기관으로 가()에는 숙()을 두고 당()에는 상()을 두고 술()에는 서()를 두고 국()에는 학()을 두었다.[古之敎者, 家有塾, 黨有庠, 術有序, 國有學.]”라는 말이 나온다. ()나라 진호(陳澔)가 지은 예기집설(禮記集說)의 해설에 따르면, 25()가 여()가 되고, 500가가 당()이 되고, 12500가가 주()가 되고, ()은 천자의 도성 혹은 제후의 국도를 가리킨다고 하였다.

가슬석자[歌瑟析子] 노래하고 춤추며 거문고 타는 시종을 자식에게 나누어 줌. () 나라 때 육가(陸賈)가 일찍이 남월(南越)에 사신 가서 얻은 천금(千金)을 나누어 다섯 아들에게 각각 이백 금(二百金)씩을 주어 분가시키고, 자신은 안거사마(安車駟馬)에 가무고슬(歌舞鼓瑟)하는 시종(侍從) 10인과 보검(寶劍) 한 자루만 소지하면서 자식들에게 이르기를 너희는 나와 한 가지 약속을 하자. 내가 너희 집에 가면 너희는 내가 데려간 사람과 말에게 술과 음식을 주도록 해라. 열흘 동안 실컷 놀고 즐기다가 다음 아들 집으로 가겠다. 그러다가 내가 죽는 집에서 보검과 수레와 말, 그리고 시종들을 갖도록 해라. 일 년 동안 오가도 다른 집에 들러 빈객이 되는 경우도 있으니 너희 집에 들르는 것은 고작 두세 번 정도일 것이다. 너무 자주 보면 반갑지 않을 테니 오래 묵어 너희를 귀찮게 하지는 않겠다.[與汝約: 過汝, 汝給吾人馬酒食, 極欲, 十日而更. 所死家, 得寶劍車騎侍從者. 一歲中往來過他客, 率不過再三過, 數見不鮮, 無久慁公為也.]”라고 하였다. 사기(史記) 역생육가열전(酈生陸賈列傳)에 보인다.

가슬추연[加膝推淵] 가슬추연(加膝推淵)은 고우면 무릎에 앉히고 미우면 연못에 밀어 떨어뜨린다는 말로, 사랑과 미움을 기분(氣分)에 따라 나타냄으로써 그 언행(言行)이 예에 벗어남. 애증(愛憎)을 마음대로 하여 법도를 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예기(禮記) 단궁 하(檀弓下)오늘날의 군자는 사람을 기용할 때는 마치 무릎에 앉힐 듯이 하고, 사람을 물리칠 때는 마치 연못에 떨어뜨릴 듯이 한다.[今之君子, 進人若將加諸膝, 退人若將墜諸淵.]”라고 한 자사(子思)의 말에서 유래하였다.

가슬추연[加膝墜淵] 법도를 넘는 지나친 애증(愛憎)을 이른다. 사랑하여 나오게 하고자 할 때에는 장차 무릎 위에 올려놓을 듯이 총애하다가도 미워하여 물리치고자 할 때에는 장차 연못에 빠뜨릴 듯이 미워하여, 사랑하고 미워하기를 마음대로 하는 것을 뜻한다. 예기(禮記) 단궁 하(檀弓下)에서 자사(子思)가 이르기를 오늘날의 위정자들은 사람을 나오게 할 때에는 장차 무릎에 올려놓을 듯이 하다가 사람을 내칠 적에는 장차 연못에 빠뜨릴 듯이 한다.[今之君子 進人若將加諸膝 退人若將隊諸淵]”라고 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