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랑선賈浪仙, 가래모歌來暮, 가려지佳麗地, 가련可憐, 가렴價廉, 가렴주구苛斂誅求

가람[岢嵐] 가람산은 중국 산서성(山西省)에 있는 산 이름이다.

가람[伽藍] 가람신(伽藍神)을 뜻한다. 가람신은 불교에서 호법신(護法神), 수호신(守護神)이다. 중국의 지의(智顗) 대사가 옥천사(玉泉寺)를 세울 때 관우의 환상을 보았다는 전설에서 관우 또한 가람신의 대열에 들어가게 되었다.

가람[伽藍] , 사찰. 승가람마(僧伽藍摩)의 준말로, 중이 살면서 불도를 닦는 절간을 가리킨다.

가랑선[賈浪仙] 가낭선은 중당(中唐)의 시인인 가도(賈島)를 이른다. 낭선(浪仙)은 그의 자이고 호는 갈석산인(碣石山人), 승명(僧名)은 무본(無本)이다. 가도는 원래는 중이었는데 시를 좋아하여 곧잘 깊은 사색에 잠기곤 하다가 뒤에 한유(韓愈)를 만나 그와 포의교(布衣交)가 된 후로는 부도(浮屠)를 버리고 다시 환속(還俗)하였다. 한때 장강 주부(長江主簿)를 지냈으므로 가장강(賈長江)으로도 불리는바, 시구(詩句) 하나를 정하는 데도 고심을 거듭한 퇴고(推敲)’의 고사로 유명하다. <新唐書 卷176 賈島傳>

가래모[歌來暮] 후한서(後漢書) 31 염범열전(廉范列傳)성도(城都)에 인물이 풍성하여 집들이 빽빽했으므로 백성들에게 야간에 일을 못하게 하여 화재를 방지하였다. 그런데 서로 몰래 불을 켜고 일을 하는 바람에 날마다 불이 났다. 염범이 이에 종전의 법을 철폐하고 물을 늘 가득하게 비축하도록 하니, 백성들이 편리하게 여겨 노래하기를 염숙도는 왜 그리 늦게 왔는가. 불을 금하지 않으니, 백성이 편안히 일할 수 있네. 평생 동안 저고리가 없더니, 지금 바지 다섯 벌이 있다네.[廉叔度 來何暮 不禁火 民安作 平生無襦 今五袴]’라고 하였다.”고 하였다.

가려지[佳麗地] 멋진 풍광(風光)을 자랑하는 옛날의 도읍지라는 말이다. 남조(南朝) ()의 시인 사조(謝脁)가 고취곡(鼓吹曲)에서 강남의 멋지고 화려한 이 땅, 금릉이라 제왕의 고을이라네.[江南佳麗地 金陵帝王州]”라는 시구로 금릉을 찬미하면서, 가려지(佳麗地)라는 표현이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가련[可憐] 18세기에 활약했던 함흥(咸興)의 기녀로, 시문·노래·검무·거문고와 바둑·쌍륙 등에 두루 능한 팔방미인이었다. 사람들이 그녀를 재기(才妓)라고 칭했으나, 자기 자신은 여협(女俠)으로 자부하였다. 84세 때에 제갈량의 출사표(出師表)를 외우면서 한 글자도 틀리지 않았다는 일화도 전해 온다.

가련[可憐] 가련하다. 불쌍하다. 가엾다. 동정하다. 애석하다.

가련[可憐] 깊은 감동을 나타내는 말. 아름답다. 사랑스럽다. 반갑다. 즐겁다. 백거이(白居易)이의 시 곡강조춘(曲江早春)좋구나 봄볕 엷어 나다니는 사람 드물고, 연못가에 말 세워 돌아보기 좋으니.[可憐春淺游人少 好傍池邊下馬行]”라고 하였다.

가련[可憐] 사랑스럽다. 부러워하다. 신기하게 여기다. 흠모하다. 백거이(白居易)이의 시 장한가(長恨歌)자매형제 모두 열후 되어 봉토를 받았으니, 부럽도다 광채가 가문에 비쳤구나.[姉妹弟兄皆列土 可憐光彩生門戶]”라고 하였고, 잠참(岑參)의 시 위절도적표마가(韋節度赤驃馬歌)변방의 장수로 귀한 몸이 되어서, 부럽도다 사람과 말 함께 빛이 나도다.[始知邊將眞富貴, 可憐人馬相輝光]”라고 하였다.

가련교염정[可憐嬌艶情] 한산(寒山)의 시에 그대여 보라, 나뭇잎 속의 꽃을 그 아름다움인들 몇 해일까? 오늘은 사람의 손 두려워하지만 내일 아침에는 누구에게 쓸릴 것인가! 가여워라, 저 아리땁고 예쁜 정()도 해가 흘러 어느새 늙고 마나니, 이 세상 사람 저 꽃에 비한다면 꽃다운 그 얼굴 어이 오래갈 것인가![君看葉裏花 能得幾時好 今日畏人攀 明朝待誰掃 可憐嬌艶情 年多轉成老 將世比於花 紅顔豈長保]”라고 하였다.

가렴[價廉] 비용이 적게 들다.

가렴주구[苛斂誅求] 가혹하게 거두고 죽을 때까지 요구한함. 가혹(苛酷)하게 세금(稅金)을 거두거나 백성(百姓)의 재물(財物)을 억지로 빼앗음. 세금을 악랄하게 거두는 혹독한 정치. 가혹하게 착취하고 징수함, 폭정(暴政)으로 인해 살기 어려움을 상징한다. 민생도탄(民生塗炭), 도탄지고(塗炭之苦).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