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유삼악순칭대효家有三惡舜稱大孝, 가유소성軻儒紹聖, 가유숙당유상家有塾黨有庠, 가유현처家有賢妻
❍ 가유삼악 순칭대효[家有三惡 舜稱大孝] 순(舜)임금의 아버지 고수(瞽瞍)는 완악하고 계모(繼母)는 미련하고 동생 상(象)은 오만했다고 한다.<書經><虞書 堯典> 또, 중용(中庸) 제17장에 공자(孔子)가 말하기를 “순 임금은 대효일 것이다. 덕은 성인이 되시고 존귀함은 천자가 되시고, 부유함은 사해를 소유하여 종묘의 제사를 흠향하시며 자손을 보전하셨다.[舜 其大孝也與 德爲聖人 尊爲天子 富有四海之內 宗廟饗之 子孫保之]”라고 하였고, 맹자(孟子) 만장상(萬章上)에 “사람이 어려서는 부모를 애모하고, 호색(好色)을 알게 되면 젊은 미인을 애모하고, 처자가 생기면 처자를 애모하고, 출사하면 임금을 애모하고, 임금에게 부름을 받지 못하면 속이 달아오른다. 큰 효도는 죽을 때까지 부모를 애모하는 것이니, 50세가 되어서도 부모를 애모하는 것을 나는 위대한 순에게서 보았다.[人少則慕父母 知好色則慕少艾 有妻子則慕妻子 仕則慕君 不得於君則熱中 大孝終身慕父母 五十而慕者 予於大舜見之矣]”라고 하였다.
❍ 가유생진증 문다격세치[家有生塵甑 門多擊轊輜] 집안은 가난하여 시루를 사용하지 않아서 먼지가 끼었지만 문 앞에는 귀객(貴客)들이 줄을 이어 수레끼리 서로 부딪칠 정도임을 말한 것이다.
❍ 가유소성[軻儒紹聖] 맹가(孟軻)가 공자(孔子)의 유교를 계승함. 가(軻)는 맹자(孟子)의 이름이다. 성(聖)은 공자(孔子)를 가리킨다.
❍ 가유숙[家有塾] 예기(禮記) 학기(學記)에 “옛날 교육하던 것에는 마을에는 숙이 있고, 고을에는 상이 있고, 지방에는 서가 있고, 나라에는 학이 있었다.[古之敎者 家有塾 黨有庠 術有序 國有學]”라고 하였다. 가(家)와 당(黨)은 행정 단위로 가는 25가(家)를, 당은 500가를 말한다. ‘숙(塾)’은 1려(閭)의 교육기관이다. 1려는 25가(家)로 구성되어 같은 골목을 사용하는데, 골목 어귀에 문이 있고 문 옆에는 ‘숙’이 있어 25가의 백성들이 아침저녁으로 이곳에서 가르침을 받았다. 500가로 이루어진 ‘당(黨)’에는 ‘상(庠)’이란 교육기관을 두고 여숙(閭塾)에서 올라온 사람들을 가르쳤으며, 1만 2500가로 이루어진 ‘주(州)’에는 ‘서(序)’란 교육기관을 두고 당학(黨學)에서 올라온 사람들을 가르쳤다. ‘학(學)’은 천자나 제후의 수도[國]에 있는 교육기관으로, 천자·제후의 원자(元子)와 중자(衆子), 경대부·사(士)의 자제, 뽑혀 올라온 준사(俊士)와 선사(選士)들을 가르쳤다. <禮記集說 學記 陳澔注>
❍ 가유숙당유상[家有塾黨有庠] 인구의 비례에 따라 학교를 설치했던 옛 제도이다. 예기(禮記) 학기(學記)에 “옛날의 교육에는 가(家)에는 숙(塾)을 두고, 당(黨)에는 상(庠)을 두고, 술(術 州)에는 서(序)를 두고 나라에는 학(學)을 둔다.[古之敎者 家有塾 黨有庠 術有序 國有學]”고 하였는데, 정현(鄭玄)의 주(注)에 “25가(家)가 여(閭)이고, 5백가가 당(黨)이고, 2천 5백가가 술(術)이다.”라고 하였다.
❍ 가유현처장부부조횡사[家有賢妻丈夫不遭橫事] 가정(家庭)에 어진 아내가 있으면, 남편(男便)은 부정(不正)한 일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이다.<通俗編>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