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加資, 가자家慈, 가자가녀賈子賈女, 가자건유賈子褰帷, 가자문架子門

가자[賈子] 가자(賈子)는 한나라 때의 문신(文臣)이자 문장가인 가의(賈誼)가 지은 정론집(政論集) 신서(新書)의 별칭으로, 가의신서(賈誼新書)라고도 부른다. 당시의 정치 상황에 대한 가의 자신의 견해를 서술한 책이다. 본래 1058책인데, 2권은 편목(篇目)만 남아 실제로는 56권이 전한다.

가자[加資] 가자는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상의 품계에 올려 주는 것을 말하는데, 종친의 경우 명선대부(明善大夫) 이상에 해당한다. ()은 종친부의 종2품부터 정1품까지의 벼슬이다. <大典會通 吏典 京衙門 宗親府>

가자[茄子] 가지이다.

가자[架子] 갸자. 음식을 나르는 데 쓰는 들것으로, 두 사람이 가마를 메듯이 하여 나른다. 갸자라고도 한다. 석전대제(釋奠大祭) 때는 임금이 하사한 기장··모시·비단 등의 제물을 갸자에 실어 날랐다.

가자[嫁資] 시집갈 때 가져가는 의상과 화장품을 말한다.

가자[假子] 양아들과 같은 말이다.

가자[家慈] 살아계신 자기(自己)의 어머니를 남에게 이르는 말이다. 글에서 쓴다.

가자가녀[賈子賈女]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 사람인 가표(賈彪)가 고을을 맡아 효렴(孝廉)으로 잘 다스렸다. 백성들이 빈곤하여 자식을 기르지 않으려는 습속이 있었는데 이를 교화하여 바로잡았으니, 자식을 돌보는 백성이 수천 명에 이르렀는데, 모두 가부(賈父)께서 길러주셨다.”라 하고, 아들을 낳으면 가자(賈子)라고 하고 딸을 낳으면 가녀(賈女)라고 이름 지었다 한다. <後漢書 卷67 賈彪列傳>

가자건유[賈子褰帷] 가자(賈子)는 가종(賈琮)이고, 건유(褰帷)는 휘장을 걷음이다. 민원에 귀 기울여 선정을 폈다는 뜻이다. 후한서(後漢書) 31 가종열전(賈琮列傳)가종이 기주자사(冀州刺史)에 임명되었다. 옛날의 전례에 따라 자사가 부임할 때 붉은 휘장을 두른 마차를 가지고 주()의 경계에 나와 영접하자, 가종이 도착하여 수레에 올라 말하기를 자사는 마땅히 멀리 보고 널리 들어 선악을 살펴야 할 터인데, 왜 도리어 휘장을 쳐서 자신의 이목을 가린단 말인가.’라 하고 시종에게 휘장을 걷도록 하였다.”라고 하였다.

가자문[架子門] 구련성(九連城)과 봉황성(鳳凰城) 사이에 있던 책문(柵門)의 다른 이름이다. 책문은 조청 간에 밀무역이 성행했던 곳으로 유명하다. 김경선(金景善)의 연원직지(燕轅直指) 18321122일 기사에 실려 있는 책문기(柵門記)본고장 사람들은 가자문이라 부르고, 내지 사람들은 변문이라 일컬으며, 우리나라 사람들은 책문이라 한다.[本處人稱架子門, 內地人稱邊門, 我人稱柵門.]”라는 구절이 보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