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문嘉聞, 가문설화可聞說話, 가미價米, 가미지회[嘉美之會, 가밀賈謐

가문[嘉聞] 좋은 평판을 이른다.

가문설화[可聞說話] 들을 만한 옛 이야기를 이른다.

가물[假物] 물건을 빌려 쓰다. 물건을 바꾸다. 물건을 교환하다.

가미[價米] 공미(貢米)에 준한 대가(代價). 물품이나 용역(用役) 등의 대가(代價)로 주는 미곡(米穀). 어떤 물건을 주는 대신 그 물건 값에 준하는 쌀을 주는 것이다.

가미[加米] 정해진 공물 외에 더 거두어들이는 쌀이다.

가미육군자탕[加味六君子湯] 식궐증(食厥症)을 치료하는 처방으로, 향부자(香附子), 백출(白朮), 백복령(白茯苓), 진피, 반하, 인삼, 목향, 사인(沙仁), 감초를 약재로 하여 생강, 대추, 자소엽(紫蘇葉)과 함께 달여서 마신다.

가미지회[嘉美之會] 주역(周易) 건괘(乾卦) 문언전(文言傳)에 원형리정(元亨利貞)을 설명하면서 ()은 선()의 으뜸이요, ()은 아름다움이 모인 것이요, ()는 의()에 화함이요, ()은 일의 근간이다.[元者 衆善之首也 亨者 嘉美之會也 利者 和合於義也 貞者 幹事之用也]”라고 하였다.

가민[可悶] 고민스럽다. 염려스럽다.

가밀[賈謐] 가충(賈充)의 외손자이자 가오(賈午)의 아들로, 원래는 한씨(韓氏)였으나 뒤에 가충의 아들 가려민(賈黎民)의 후사가 되면서 가씨(賈氏)가 되었다. 산기상시(散騎常侍), 비서감(秘書監), 시중(侍中) 등을 역임하였다. 권세가 크고 사치가 지나쳐서 그와 교유한 석숭(石崇구양건(歐陽建) 등이 이십사우(二十四友)로 불리게 되었다. 문학에 재능이 있어 서한의 가의(賈誼)와 비견되었다. 가황후(賈皇后)와 함께 태자를 모함하였으며 조왕(趙王) 사마륜(司馬倫)에게 피살되었다.

가밀[賈謐] 가후(賈后)의 여동생인 가오(賈午)가 한수(韓壽)에게 시집가서 밀()을 낳았는데, 가충(賈充)이 후사가 없으므로 한밀(韓謐)을 후사로 삼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