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목竿木, 간목부의干木富義, 간목수생幹木水生, 간몰乾沒, 간무우무干舞羽舞, 간문제簡文帝

간목[竿木] 간목은 옛날에 기예를 부리는 광대가 가지고 다니는 장대이다. 중국의 등은봉(鄧隱峯)이 마조선사(馬祖禪師)의 곁을 떠날 때 마조선사가 어디로 가느냐?”고 하자 등은봉이 석두(石頭)에게로 갑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마조선사가 석두의 길은 미끄럽다.”고 하자 등은봉이 간목을 몸에 지니고 다니니 가는 곳마다 한바탕 연극을 펼칠 것입니다.[竿木隨己 逢場作戱]”라고 하였다. 이는 오도(悟道)의 경지가 자기에게 있으므로 어떠한 상황을 만나도 자유자재하다는 뜻이다.

간목부의[干木富義] 단간목(段干木)은 의로움이 대단함. 단간목(段干木)은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 나라의 은자이다. 위 문후(文侯)가 그를 보기 위해 집까지 찾아 갔으나 담을 넘어 피해 버렸다고 한다. ()나라 이한(李翰)이 지은 몽구(蒙求)에 회남자(淮南子)를 인용하여 단간목이 벼슬을 사양하고 집에 있는데, 위 문후(魏文候)가 그 마을을 지나다가 수레의 가로대를 잡고 절을 하였다. 그러자 임금을 모시던 노복이 단간목은 포의(布衣)의 선비인데 임금께서 수레의 가로대를 잡고 절하는 것은 너무 지나치지 않습니까?’라고 하였다. 이에 문후가 단간목은 세력과 이익을 위해 나가지 않고, 군자(君子)의 도()를 품고 궁벽한 거리에 숨어 살아도 명성이 천리에 까지 들리는데 과인이 어찌 감히 절하지 않겠는가? 간목(干木)은 덕()으로 빛나고 과인(寡人) 권세(權勢)로 빛나며, 간목은 의리(義理)에 부자(富者)이고, 과인은 재물(財物)에 부자이다. 권세는 덕의 높은 것만 못하고, 재물(財物)은 의()가 높음만 못하다. 간목(干木)은 그의 덕()을 과인(寡人)의 권세(權勢)와 바꾸려 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하였다.[淮南子曰 段干木辭祿而處家. 魏文侯過其閭而軾之. 其僕曰 干木布衣之士. 君軾其閭 不已甚乎. 文侯曰 干木不趍勢利 懷君子之道 隱處窮巷 聲施千里. 寡人敢勿軾乎. 干木光于德 寡人光于勢. 干木富于義 寡人富于財. 勢不若德尊. 財不若義高. 干木雖以己易寡人弗爲.]”고 한 데서 보인다.

간목사령운[刊木謝靈運] 남조 송(南朝宋) 때 사령운(謝靈運)이 본디 등산(登山)하기를 좋아하여, 일찍이 시령(始寧)의 남산(南山)으로부터 나무를 베어 길을 내기 시작하여 곧장 임해(臨海)까지 이르렀던 데서 온 말이다. <南史 卷十九>

간목수생[幹木水生] 강목수생(剛木水生). 바짝 마른 나무에서 물을 짜내듯이 아무 것도 없는 사람에게 무엇을 내라고 요구함을 이르는 말이다.

간몰[乾沒] 물속으로 침몰한 것처럼 흔적도 없이 사라짐. 자기의 소유가 아닌 물품이나 돈을 횡령(橫領)하는 것. 다른 사람이 위탁한 물건을 횡령(橫領)하는 것을 말한다.

간무[干舞] 간무는 방패를 들고 추는 무무(武舞)의 일종이다. () 임금 때 묘족(苗族)이 명을 따르지 않자 순 임금이 우()에게 출정하여 치게 하였다. 이때 익()이 순 임금이 고수(瞽瞍)를 감동시킨 예를 들어 덕()으로 다스리게 하니, 이에 순 임금이 문덕(文德)을 크게 베풀고 깃털과 방패를 들고 춤을 추게 하자, 70일 만에 묘족이 복종하여 왔다고 한다. <書經 大禹謨>

간무[干舞] 간무는 방패를 손에 들고 추는 무무(武舞)를 가리킨다. 서경(書經) 대우모(大禹謨)() 임금이 문덕을 크게 펴고, 두 섬돌 사이에서 방패를 쥐고 간무(干舞)를 추고 꿩깃을 쥐고 우무(羽舞)를 추니, 그렇게 한 지 70일 만에 묘족(苗族)이 감복하여 귀의해 왔다.[帝乃誕敷文德 舞干羽于兩階 七旬有苗格]”라고 한 데서 온 말로, 간무를 춘다는 것은 곧 태평성대를 의미한다.

간무우무[干舞羽舞] 순 임금이 문덕(文德)을 크게 발휘하여 양 섬돌 사이에서 무무(武舞)인 간무(干舞)와 문무(文舞)인 우무(羽舞)를 추니, 무력을 써도 굴복하지 않던 유묘(有苗)70일 만에 감화되어 귀의했다고 한다. <書經 大禹謨>

간문제[簡文帝] ()나라 무제(武帝)의 셋째 아들로 진안왕(晉安王)에 봉해졌다가 549년에 즉위하였다. 학문을 좋아하여 직접 노자의(老子義), 장자의(莊子義) 등을 저술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