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고曷故, 갈고羯鼓, 갈고과개화羯鼓撾開花, 갈고백면훤춘뢰羯鼓百面喧春雷, 갈고최羯鼓催, 갈공葛公

갈고[曷故] 무슨 까닭에. 무엇 때문에. 어떤 이유.

갈고[羯鼓] ()이라는 부족이 치는 북이다. 당 현종이 화악루(花萼樓) 아래에서 이 북을 두드리자 아직 봄이 일러 꽃봉오리가 피지 않았는데도, 그 곡조가 끝나면서 근처의 꽃들이 일시에 피었다고 한다. 당나라 때 남탁(南卓)이 쓴 갈고록(羯鼓錄)에 이야기가 전해진다.

갈고[羯鼓] 갈고(羯鼓)는 상고 시대 오랑캐인 갈족(羯族)의 악기로써 북의 일종이다. 당 현종(唐玄宗)이 갈고를 좋아하여 양귀비(楊貴妃)와 함께 이 북을 두드리곤 했다. 어느 날 이원(梨園)에서 새로 작곡한 관현악을 화악루(花萼樓) 아래에서 연주하였는데, 그 작곡이 매우 잘못되었다. 이에 현종이 연주를 중지하도록 명령하고, 다시 갈고(羯鼓)를 가져오라. 이 더러운 소리를 들은 것을 씻겠다.”라 하고, 갈고를 가져다가 한 곡조를 연주하였다. 아직 봄이 일러 꽃봉오리가 피지 않았는데도, 그 곡조가 끝나면서 근처의 꽃들이 일시에 피었다 한다.

갈고[羯鼓] 갈고(羯鼓)는 서방 오랑캐인 갈족(羯族)이 치는 장구로, 말가죽으로 메운 고대 타악기의 일종이다. 당 현종(唐玄宗)은 본디 음률(音律)을 잘 아는 데다 갈고를 특히 좋아했는데, 한번은 2월 초 어느 날 밤비가 막 갠 아침에 내정(內庭)의 버들개지, 살구꽃 등이 막 터져 나오려는 것을 보고는 고 역사(高力士)를 시켜 갈고를 가져오게 하여 친히 춘호광(春好光) 한 곡조를 지어서 갈고를 연주하고 나자, 버들개지, 살구꽃 등이 이미 다 터져 나왔다는 고사가 있다.

갈고[羯鼓] 갈고는 말가죽으로 메운 장고를 가리킨다. 서방 오랑캐인 갈족(羯族)이 치는 북이다. ()나라 현종(玄宗)이 특히 이 악기를 잘 쳤다. 당 현종(唐玄宗)은 본디 음률(音律)을 잘 아는 데다 갈고를 특히 좋아했는데, 한번은 2월 초 어느 날 밤비가 막 갠 아침에 내정(內庭)의 버들개지, 살구꽃 등이 막 터져 나오려는 것을 보고는, 고역사(高力士)를 시켜 갈고를 가져오게 하여, 친히 춘호광(春好光) 한 곡조를 지어서 갈고를 연주하고 나니, 버들개지, 살구꽃 등이 이미 다 터져 나왔더라는 고사가 있다. <開元天寶遺事>

갈고[羯鼓] 만족(蠻族)이 사용하던 북의 일종으로, () 위에 놓고 북채로 양면을 친다. 갈고록(羯鼓錄)갈고는 모양이 칠통(漆桶)과 비슷하며 그 밑에는 아상(牙床)을 받쳐 놓고 두 개의 막대기로 친다. 명황이 이를 가장 좋아하여, 봄비가 막 개고 경치가 아름다울 적에는 손수 갈고를 가지고 난간에 올라 마음껏 치고는 하였다.”라고 하였다. 또 광기(廣記)작은 전정(殿亭) 안에 버들꽃과 살구꽃이 피려고 할 적에는 임금이 갈고를 가지고 마음껏 쳤는데, 그 곡()을 춘광호(春光好)라 했으며 버들꽃과 살구꽃이 활짝 핀 모습을 돌아보고는 손을 들어 가리키고 웃으면서 이 같은 놀이야말로 나를 하늘로 간주하지 않는다면 어디 될 말이냐.’라 했다.”라고 하였다.

갈고[羯鼓] 말가죽으로 메운 고대 타악기의 일종이다. 인도에서 기원한 것으로 서역을 거쳐 중국으로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장고(兩杖鼓)란 별칭에서 보듯 양쪽을 모두 두들길 수 있다. 당나라 개원(開元), 천보(天寶) 연간에 성행하였다. 장호(張祜)의 시 화청궁(華淸宮)궁문은 잠겨 있어 인적 없는데, 한밤중 구름 속에 갈고 소리 울리네.[宮門深鎖無人覺 半夜雲中羯鼓聲]”라고 하였다.

갈고과개화[羯鼓撾開花] 갈고(羯鼓)는 상고 시대 갈족(羯族)의 악기로 북의 일종이다. 당 현종(唐玄宗)이 갈고를 좋아하여 내정(內庭)의 난간에 앉아 갈고를 칠 때 뜰아래에 버들 꽃과 살구꽃이 막 피고 있었는데, 현종이 그것을 가리키고 웃으면서 궁인(宮人)에게 말하기를 이 한 가지 일은 나를 조물주라 불러야 하지 않겠느냐?”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갈고를 쳐 꽃이 피기를 재촉하였다는 고사가 생겼다. <舊唐書 卷29 音樂志>

갈고백면훤춘뢰[羯鼓百面喧春雷] 갈고(羯鼓)는 말가죽으로 메운 장고(長鼓)를 말한다. 당 현종(唐玄宗)은 본디 음률을 잘 아는 데다 갈고를 특히 좋아했던바, 한번은 2월 초 어느 날 밤비가 막 갠 아침에 내정(內庭)의 버들개지, 살구꽃 등이 막 터져 나오려는 것을 보고는 고 역사(高力士)를 시켜 갈고를 가져오게 하여, 친히 춘호광(春好光) 한 곡조를 지어서 갈고를 연주하고 나니 버들개지, 살구꽃 등이 이미 다 터져 나왔더라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이때 현종은 웃으면서 빈어(嬪御)들을 돌아보고 이르기를 이 한 가지 일로 말하자면 나를 조화옹이라 부르지 않아서 되겠느냐?[此一事 不喚我作天公可乎]”라고 했다 한다. <太平御覽> 소식(蘇軾)의 석화(惜花) 시에 도인은 나에게 권하여 청명에 오라면서, 봄 천둥소리처럼 요고를 거듭 쳐대어, 양주곡 한 곡을 치고 나면 꽃이 절로 피리니, 사하의 못가에서 꽃을 꽂고 돌아가리라 하네.[道人勸我淸明來 腰鼓百面如春雷 打徹凉州花自開 沙河塘上戴花回]”라고 하였다.

갈고최[羯鼓催] 상고 시대 갈족(羯族)의 악기로서 북의 일종이다. 당 현종(唐玄宗)이 갈고를 좋아하여 내정(內庭)의 난간에 앉아 갈고를 칠 때 뜰 밑에는 버들꽃과 살구꽃이 금방 벌어지고 있었는데, 현종이 그것을 가리키며 웃으면서 궁인(宮人)에게 말하기를 이 한 가지 일은 나를 조물주라 불러야 하지 않겠느냐.”라고 하였다는 데서 갈고를 쳐 꽃이 피기를 재촉하였다는 고사가 생겼다. <舊唐書 卷29 音樂志>

갈공[葛公] 진대(晉代)의 선인(仙人)인 갈홍(葛洪)을 말한다. 갈홍은 일찍이 구루 영(句漏令)을 지내다가 그만두고 나부산(羅浮山)에 들어가 도술을 성취했으며, 저서에 포박자(抱朴子)가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