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부가柯斧歌, 가부낭중駕部郎中, 가부상제可否相濟, 가부상중루賈傅湘中淚
❍ 가부가[柯斧歌] 원효가 요석공주(瑤石公主)를 만날 적에 불렀다고 하는 노래이다. 원효가 어느 날 미친 듯이 길거리에서 노래를 부르기를 “누가 자루 없는 도끼를 나에게 주랴, 하늘 받칠 기둥감을 내 찍으련다.[誰許沒柯斧 我斫支天柱]”라고 하자, 태종 무열왕이 그 노래를 듣고는 “대사께서 귀부인을 만나 어진 자식을 낳고 싶어 하는 것이다.”라 하고는, 원효를 요석공주가 있는 요석궁으로 보내었는데, 뒤에 요석공주가 잉태하여 설총(薛聰)을 낳았다고 한다.
❍ 가부곤강관[賈傅困絳灌] 가부(賈傅)는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를 지낸 한(漢) 나라의 가의(賈誼)를 가리킨다. 강관(絳灌)은 한 나라의 개국공신인 강후(絳侯) 주발(周勃)과 영음후(潁陰侯) 관영(灌嬰)의 병칭이다. 가의가 20세 때 문제(文帝)의 부름을 받고 조정에 들어와 1년도 안 된 사이에 태중 대부(太中大夫)에 이르면서 예악에 입각한 문치(文治)의 정책을 과감하게 건의하자, 문예를 잘 모르는 주발과 관영 등 대신들이 이를 시기하여 조정에서 쫓아냈다. <史記 卷84>
❍ 가부낭중[駕部郎中] 병부(兵部)에 소속된 가부사(駕部司)의 주관(主官)으로, 역전(驛傳), 우마(牛馬) 등을 관장(管掌)하였다.
❍ 가부득감부득[加不得減不得] 더 할 수도 덜 할 수도 없음. 더할 수도 뺄 수도 없음. 가감부득(加減不得).
❍ 가부상시곡[賈傅傷時哭] 가부(賈傅)는 한 문제(漢文帝) 때의 문신으로 장사왕 태부(長沙王太傅)를 지낸 가의(賈誼)를 가리킨다. 가의가 일찍이 시국 광구책(時局匡救策)인 치안책(治安策)을 문제에게 올려 잘못된 정치를 격렬히 비판했는데, 치안책 첫머리에 “신은 그윽이 생각하건대, 지금의 사세가 통곡할 만한 일이 한 가지요, 눈물을 흘릴 만한 일이 두 가지요, 길이 한숨을 쉴 만한 일이 여섯 가지입니다.[臣竊惟事勢可爲痛哭者一, 可爲流涕者二, 可爲長太息者六.]”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漢書 卷48 賈誼傳>
❍ 가부상제[可否相濟] 어떤 일을 의논할 적에 자기 의견을 솔직히 개진하여 가타부타 따져서 처리하는 것을 뜻한다. 서경(書經) 함유일덕(咸有一德)에 “관직을 맡기되……조화롭고 한결같게 하소서.[任官……惟和惟一.]” 하였는데, 주석에 “화는 가와 부로 서로 이루어 주는 것이다.[和者, 可否相濟.]”라고 하였다. 즉, 어떤 사안에 대해 논쟁하여 찬성과 반대를 절충하여 합일점(合一點)을 도출(導出)하여 일을 이루는 것이다.
❍ 가부상중루[賈傅湘中淚] 한(漢) 나라 가의(賈誼)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쫓겨난 뒤 상수(湘水)를 건너다가 이곳에서 빠져 죽은 굴원(屈原)을 생각하며 자신의 감회를 덧붙여 애도하는 글을 지었던 고사가 있다. <史記 卷84>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