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장사 오획도 천하미인 왕장도 /격언련벽 / 패흉류/

  천하장사 오획도 병들어 위독하면 어린아이가도 매질하여 다룰 수 있고 천하미인 왕장도 썩어서 냄새나면 여우와 삵이 무덤을 뚫고 서로 노린다 .   烏獲病危 , 雖童子制梃可撻 . 오획병위 , 수동자제정가달 . 王嬙臭腐 , 惟狐狸鑽穴相窺 . 왕장취부 , 유호리찬혈상규 .   < 格言聯璧 격언련벽 / 悖凶類 패흉류 >   ❍ 오획 [ 烏獲 ] 중국 춘추 전국 시대 진 ( 秦 ) 나라 무왕 ( 武王 ) 때의 용사 ( 勇士 ) 이다 . 천균 ( 千鈞 ) 의 무게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장사로 , 당시 역사 ( 力士 ) 였던 임비 ( 任鄙 ) ・ 맹분 ( 孟賁 ) 과 함께 진무왕 ( 秦武王 ) 의 신임을 받았다 . 한서 ( 漢書 ) 권 57 하 사마상여전 ( 司馬相如傳 ) 에 “ 힘은 오획이요 , 날래기는 경기 ( 慶忌 ) 요 , 용맹은 맹분 ( 孟賁 ) 과 하육 ( 夏育 ) 이라네 .[ 故力稱烏獲 , 捷言慶忌 , 勇期賁 · 育 .]” 라고 하였고 , 맹자 ( 孟子 ) 고자하 ( 告子下 ) 에 “ 그렇다면 오획이 들던 짐을 든다면 이 또한 오획이 될 뿐이니 , 사람이 어찌 이기지 못함을 걱정하는가 . 자기가 하지 않을 뿐인 것이다 .[ 然則擧烏獲之任 是亦爲烏獲而已矣 夫人 豈以不勝爲患哉 弗爲耳 ]” 라고 하였다 . 獲 은 음이 ‘ 획 ’ 과 ‘ 확 ’ 등으로 혼용되고 있으나 , 패문운부 ( 佩文韻府 ) 에서는 입성 ( 入聲 ) 11 맥운 ( 陌韻 ) 에 분류하고 ‘ 후획 ( 後獲 )’·‘ 오획 ( 烏獲 )’ 등을 용례로 제시하였으므로 , ‘ 得 ( 득 )’ 의 뜻에 해당하는 ‘ 획 ’ 으로 독음해야 한다 . ‘ 확 ’ 은 ‘ 곤박실지 ( 困迫失志 )’·‘ 운확 ( 隕獲 )’ 의 뜻으로 , 입성 ( 入聲 ) 10 약운 ( 藥韻 ) 이다 . ❍ 병위 [ 病危 ] 위독하다 . 병이 위중하다 . ❍ 왕장 [ 王嬙 ] 왕소군 ( 王昭君 ). 한 원제 ( 漢元帝 ) 의 궁인 ( 宮人 ) 이다 . 이름은 왕장 ( 王嬙 ) 이고 자는 소군 ( 昭君 ) 인데 ,

남과 자신에게 폐 끼치는 삶 /幽夢影유몽영/

  생산적인 활동을 하지 않으면 훗날 반드시 남에게 폐를 끼치고 어울려 노는 데만 힘을 쏟으면 훗날 반드시 자기에게 폐를 끼친다 .   不治生產 , 其後必致累人 . 불치생산 , 기후필치누인 . 專務交遊 , 其後必致累己 . 전무교유 , 기후필치누기 . < 幽夢影 유몽영 >   ❍ 생산 [ 生産 ] 자연자원이나 가공물의 원재료를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많은 물품을 만들어 냄 . ❍ 전무 [ 專務 ] 어떤 일을 전문적으로 맡아봄 . 또는 그런 사람 . 중대하고 어려우면서도 긴요한 업무 . 사장을 도와 회사의 업무를 통괄하는 이사 . 오로지 ~ 에 힘을 쓰다 . 전적을 힘을 쓰다 . ❍ 누인 [ 累人 ] 허물이 있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 남에게 대하여 자기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 . 다른 사람에게 폐 ( 弊 ) 를 끼치다 . 옥에 갇힌 사람을 가리키기도 한다 . ❍ 교유 [ 交遊 ] 서로 사귀어 놀거나 오고가고 함 . 서로 사귀어 왕래 ( 往來 ) 함 .   【 譯文 】  不從事勞動生產 ,   將來一定會拖累別人   ;   一心只知道交友應酬 ,   到最後必定會使自己受到牽累 .  

감무가 진과 위를 연합하여 초를 공격하다 /전국책/진책/

  감무 ( 甘茂 ) 가 진 ( 秦 ) 나라와 위 ( 魏 ) 나라를 연합하여 초 ( 楚 ) 나라를 공격하였다 . 초나라 사람으로서 진나라에 와서 벼슬을 하던 굴개 ( 屈蓋 ) 가 초나라를 위하여 진나라와 강화를 주선하자 진나라가 관문을 열고 초나라의 사신을 받아들였다 . 감무가 진왕에게 말하였다 . “ 초나라에 대한 두려움에 위나라로 하여금 이 회담을 주재하도록 하지 않으면 초나라는 ‘ 진나라가 위나라를 팔아먹었다 ’ 고 할 것입니다 . 그렇게 되면 위나라는 불쾌하게 여겨 초나라와 연합하게 될 것입니다 . 초나라와 위나라가 연합하여 하나가 되면 우리가 큰 상처를 입지나 않을까 두렵습니다 . 왕께서는 위나라로 하여금 강화를 주재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위나라는 자신의 주재로 강화를 이루는 것을 틀림없이 기뻐할 것입니다 . 왕께서 위나라에게 미움도 사지 않게 되고 기지 ( 寄地 ) 도 틀림없이 많아질 것입니다 .” 【 전국책 : 진책 2 】 ★★★ 甘茂約秦 ・ 魏而攻楚 , 楚之相秦者屈蓋爲楚和於秦 . 秦啓關而聽楚使 . 甘茂謂秦王曰 : “ 怵於楚 , 而不使魏制和 , 楚必曰 : ‘ 秦鬻魏 .’ 不悅而合於楚 . 楚 ・ 魏爲一 , 國恐傷矣 . 王不如使魏制和 , 魏制和 , 必悅 . 王不惡於魏 , 則 ‘ 寄地 ’ 必多矣 .”  【 戰國策 : 秦策二 】   ❍ 기지 [ 寄地 ]   잠시 다른 나라에게 대신 관리하도록 맡긴 땅 .  

복을 바라는 것보다 더 큰 재앙이 없다 /격언연벽/패흉류/

  흥성은 쇠퇴의 시작이요 복은 화의 기반이다 . 재앙이 없는 것보다 더 큰 복이 없고 복을 바라는 것보다 더 큰 재앙이 없다 . 盛者衰之始 , 福者禍之基 . 성자쇠지시 , 복자화지기 . 福莫大於無禍 , 禍莫大於邀福 . 복막대어무화 , 화막대어요복 . < 格言聯璧 격언련벽 : 悖凶類 패흉류 >   ❍ 흥성 [ 興盛 ] 매우 왕성하게 일어남 . 매우 성 ( 盛 ) 하고 기운 ( 氣運 ) 참 . 또는 그렇게 일어남 . ❍ 쇠퇴 [ 衰退 ] 쇠 ( 衰 ) 하여 점차로 물러남 . 쇠 ( 衰 ) 하여 전보다 못해짐 . 힘이나 세력 따위가 약해져 전보다 못한 상태로 됨 . ❍ 기반 [ 基盤 ] 기초가 되는 바탕 . 사물 ( 事物 ) 의 밑바탕 . 터전 . ❍ 재앙 [ 災殃 ] 뜻하지 않게 생긴 불행한 변고 . 천재지변으로 말미암아 생긴 불행한 사고 . ❍ 요복 [ 邀福 ] 복을 바라다 . 복을 맞아들이다 . 복을 구하다 .   【 譯文 】 興盛 , 往往是衰退的開端 ; 吉福 , 常常是禍殃的根源 . 最大的幸福 , 就是終生遠禍 ; 最大的災禍 , 就是刻意求福 .  

명리에 대해 말하기 꺼리는 사람도 <채근담/취고당검소>

  산림에 사는 즐거움을 말하는 사람이라고 해서 반드시 산림에 사는 멋을 제대로 얻었다 할 수 없고 명리에 대해 말하기를 꺼리는 사람이라고 해서 반드시 명리에 대한 마음을 모두 잊었다 할 수 없다 .   談山林之樂者 ,   未必眞得山林之趣 . 담산림지락자 ,   미필진득산림지취 . 厭名利之談者 ,   未必盡忘名利之情 . 염명리지담자 ,   미필진망명리지정 .   < 채근담 菜根譚 / 명각본 明刻本 ( 만력본 萬曆本 )/ 후집 後集 (1)> < 취고당검소 醉古堂劍掃 / 소창유기 小窓幽記 >   ❍ 미필 [ 未必 ]   반드시 ~ 한 것은 아니다 . 꼭 그렇다고 할 수 없다 . ❍ 진득 [ 眞得 ]   진정으로 얻음 . 진정으로 깨달음 . ❍ 명리 [ 名利 ]   명예 ( 名譽 ) 와 이익 ( 利益 ). 세상에서 얻은 명성과 이득 . ❍ 진망 [ 盡忘 ]   완전히 잊다 . 모두 ( 다 ) 잊다 .   【 譯文 】 談論園林生活快樂的人 , 未必眞正得到園林生活的樂趣 ; 厭惡談論名位利祿的人 , 未必完全忘卻名位利祿的情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