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장사 오획도 천하미인 왕장도 /격언련벽 / 패흉류/
천하장사 오획도 병들어 위독하면 어린아이가도 매질하여 다룰 수 있고 천하미인 왕장도 썩어서 냄새나면 여우와 삵이 무덤을 뚫고 서로 노린다 . 烏獲病危 , 雖童子制梃可撻 . 오획병위 , 수동자제정가달 . 王嬙臭腐 , 惟狐狸鑽穴相窺 . 왕장취부 , 유호리찬혈상규 . < 格言聯璧 격언련벽 / 悖凶類 패흉류 > ❍ 오획 [ 烏獲 ] 중국 춘추 전국 시대 진 ( 秦 ) 나라 무왕 ( 武王 ) 때의 용사 ( 勇士 ) 이다 . 천균 ( 千鈞 ) 의 무게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장사로 , 당시 역사 ( 力士 ) 였던 임비 ( 任鄙 ) ・ 맹분 ( 孟賁 ) 과 함께 진무왕 ( 秦武王 ) 의 신임을 받았다 . 한서 ( 漢書 ) 권 57 하 사마상여전 ( 司馬相如傳 ) 에 “ 힘은 오획이요 , 날래기는 경기 ( 慶忌 ) 요 , 용맹은 맹분 ( 孟賁 ) 과 하육 ( 夏育 ) 이라네 .[ 故力稱烏獲 , 捷言慶忌 , 勇期賁 · 育 .]” 라고 하였고 , 맹자 ( 孟子 ) 고자하 ( 告子下 ) 에 “ 그렇다면 오획이 들던 짐을 든다면 이 또한 오획이 될 뿐이니 , 사람이 어찌 이기지 못함을 걱정하는가 . 자기가 하지 않을 뿐인 것이다 .[ 然則擧烏獲之任 是亦爲烏獲而已矣 夫人 豈以不勝爲患哉 弗爲耳 ]” 라고 하였다 . 獲 은 음이 ‘ 획 ’ 과 ‘ 확 ’ 등으로 혼용되고 있으나 , 패문운부 ( 佩文韻府 ) 에서는 입성 ( 入聲 ) 11 맥운 ( 陌韻 ) 에 분류하고 ‘ 후획 ( 後獲 )’·‘ 오획 ( 烏獲 )’ 등을 용례로 제시하였으므로 , ‘ 得 ( 득 )’ 의 뜻에 해당하는 ‘ 획 ’ 으로 독음해야 한다 . ‘ 확 ’ 은 ‘ 곤박실지 ( 困迫失志 )’·‘ 운확 ( 隕獲 )’ 의 뜻으로 , 입성 ( 入聲 ) 10 약운 ( 藥韻 ) 이다 . ❍ 병위 [ 病危 ] 위독하다 . 병이 위중하다 . ❍ 왕장 [ 王嬙 ] 왕소군 ( 王昭君 ). 한 원제 ( 漢元帝 ) 의 궁인 ( 宮人 ) 이다 . 이름은 왕장 ( 王嬙 ) 이고 자는 소군 ( 昭君 ) 인데 ,